'우한 폐렴' 확산에 따른 후폭풍이 심상치 않다. 이제는 한국 경제에 또 다른 직격탄이 돼 날아오는 양상이다. 날벼락을 맞은 대표적 업종은 관광·유통일 것이다. 우한 폐렴이 무서운 기세로 퍼지면서 중국 여행을 계획했던 국내 여행객의 변경 및 취소 문의가 부쩍 늘고있다. 하나투어에 따르면 2월 중국 여행 취소율은 전년 동기 대비 48%에 달했고 3월 역시 40%에 육박했다고 한다. 중국 정부가 단체관광을 전면 중단하기로 하면서 방한 관광 시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들도 영향권에 놓인 상태다. 국내기업들은 출장 자제와 직원 복귀 조치 등 비상체계를 가동했다. 아직까지 현지사업장 운영을 중단한 경우는 없지만 우한 폐렴이 계속 확산될 경우 고심이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과거 사스나 메르스 악몽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우한 폐렴은 중국과 주변 아시아 국가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중국 30개 성과 홍콩·마카오·대만에서 확진자는 2800명을 넘어섰고, 우리나라에서도 4번째 확진자가 나왔다. 그러잖아도 우리 경제에 먹구름이 끼어있는 상황이다. 전염병 공포로 소비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악재가 가뜩이나 바닥인 우리나라 성장률을 더 큰 폭으로 끌어내릴 수 있어 우려감이 커진다.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수립했던 지난해 말 당시에는 우한 폐렴은 예상 시나리오에 들어있지 않았다. 그런데 연초부터 변수가 돌출해 한국경제에 리스크 요인으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최악의 상황을 예단하기엔 아직 이르다. 하지만 사스 사태 때의 피해 규모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나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조사를 보면 사스는 2003년 2분기 우리나라 성장률을 1%포인트 정도 하락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부는 방역 대책과 별개로 경제 관련 비상책도 내놓아야 한다. 정부는 과거 사스나 메르스 사태의 경험을 토대로 경제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재정·통화 등 정책수단을 총동원할 필요가 있다. 대형 전염병은 직간접적으로 경제를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우물쭈물하다가 우리 경제가 치명타를 맞을 수 있다. 이번만은 정책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