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비스산업이 중국 경제를 지탱하는 주요 부문으로 성장하면서 우리 기업의 새로운 해외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정치·군사적 리스크가 큰 서비스수출의 특성상 중국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KIET)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산업은 1978년 개방 이후 중국경제와 함께 꾸준한 성장을 거듭해 2018년까지 약 40년 동안 그 부가가치가 명목기준 500배 이상, 실질기준 50배 이상 확대됐다. 이 기간 서비스산업 부가가치의 연평균 실질성장률은 10.4%로 GDP 실질성장률 9.4%를 상회했다.
GDP 성장에 대한 서비스산업의 기여율은 1990년대 이후 대체로 상승세다. 2000년대까지는 광공업과 서비스산업의 성장기여율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13년 이후 서비스산업의 기여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2018년 기준 서비스산업의 GDP 성장 기여율은 59.7%로, 광공업(31.7%)의 약 2배에 달한다.
이건우 선임연구위원은 "서비스산업의 GDP 성장 기여율 확대는 중국에서도 서비스산업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중국정부가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경제성장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투자와 수출 대신 소비를 강조하면서 과거와 같은 높은 경제성장률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전히 6%대의 높은 성장률, 14억 인구를 가진 거대한 잠재시장임을 고려해 우리 기업의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위원은 "공산품 무역이나 제조업 투자에 비해 서비스 분야에서의 대(對)중국 직접투자는 미약한 수준"이라며 "중국의 서비스시장 확대는 외국기업들에게는 새로운 진출 기회의 창출을 의미하므로 우리 기업들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한중간 서비스교류는 정치·군사적 리스크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투자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위원은 "2018년에는 사드 사태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대중국 서비스산업 직접투자가 급락했었다"며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중국기업과의 합자 및 합작투자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 합자 및 합작투자로 경영의 현지화를 이룬다면 중국의 정책이나 소비자 기호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연구위원은 "중국에서 시행 중인 외상투자법 및 외상투자산업장려목록 등에 포함된 각종 지원제도나 규제완화 내용을 파악해 분야별·지역별 투자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은진기자 jineun@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