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부재에 노영민이 대신 주재…경제 상황까지 아울러 점검
청와대는 9일 NSC상임위원회의를 열고 최근 중동지역의 군사적 긴장 고조와 관련해 정부의 대응체계와 시장 대처 방안 등을 논의했다. 지난 6일 임시 상임위원회를 개최한 데 이어 이날도 중동 정세와 관련한 논의를 이어간 것이다.

청와대는 이날 상임위원회 개최 결과 보도자료를 내고 "상임위원들은 중동지역의 군사적 긴장 고조 동향과 국제 정세 전반에 대해 평가했다"며 "역내 우리 국민과 기업 및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한 긴급대응체계 등을 점검했다"고 했다.

이어 "상임위원들은 또한 기획재정부 1차관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으로부터 금번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및 석유·가스 수급 동향 등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며 "금번 사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련 시장 동향 등을 예의 주시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상임위원들은 중동지역에서 조속히 긴장이 완화되고 정세가 안정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했다"고 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6일 NSC상임위원회 임시회의를 개최해 이란 정세를 논의한 적이 있다. 보통 매주 목요일에 정기적으로 개최하지만 중동에 군사적 긴장감이 흐르자 일주일에 두 차례 회의를 소집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날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방문으로 부재중이어서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회의를 대신 주재했다. 또한 홍남기 경제부총리를 대신해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대신해 정승일 차관이 참석했다. 외교·안보분야 인사들이 주로 참석하던 평소보다 회의의 스케일은 오히려 더 커진 셈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전반적인 경제나 교민들의 안전 등을 점검·체크해야 될 필요성 때문에 다시 한 번 개최하게 됐다"고 했다.

청와대의 이런 반응은 이란의 움직임이 한국의 원유·천연가스 수급 등 경제문제는 물론 이란과 마찬가지로 미국과 핵 협상을 벌이고 있는 북한 정세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같은날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중동 정세가 북미관계에 미칠 영향에 관해 묻는 질문에 "북한의 특이한 동향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며 "북한 내부적으로 보면 김정은 위원장의 현지 지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노동신문을 비롯한 매체에서는 (미·이란 사안에 대한) 사실 보도를 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청와대는 정 실장이 미국에서 어떤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지 설명하지는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