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권봉석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이 내년 스마트폰(MC)과 자동차 전장(VS) 사업의 동시 흑자 전환을 약속했다. 두 사업이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 LG전자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될 수 있다.

권봉석 사장은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0' 개막 이튿날인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하고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모바일 턴어라운드(흑자전환)는 작년 이 자리에서 2021년에 가능할 것이라고 얘기했는데 지금도 그 목표에 변화가 없다"며 "전장 역시 현재 추정 매출과 원가율을 따져봤을 때 2021년 동시에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권 사장은 수익을 기반으로 한 성장 전략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면서, 디지털 전환의 경우 당장 시급한 과제인 만큼 속도를 더 빠르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LG 시그니처' 등으로 대표하는 프리미엄 전략 역시 중단 없이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사업부문에 대한 답변도 자세하게 했다. 작년 출시를 계획했다가 무산된 롤러블 TV과 관련해선 "이르면 상반기 늦어도 3분기 이전에는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시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비싼 가격과 제품의 특성 등을 고려해 제품의 신뢰성 확보에 더 공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간담회에 배석한 박형세 LG전자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장 부사장은 이번 CES에서 공개된 말려 내려오는 '롤다운 TV'에 대해 "출시는 좀 더 검증을 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서는 로봇 사업에 대한 전략과 출시 계획에 관한 얘기도 나왔다. 권봉석 사장은 "LG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로봇으로 사업에 초점을 맞출까 한다"며 "산업용은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빠르게 성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로봇 업체들을 인수해 기반 기술을 확보한 상태"라며, 출시계획은 "올해 하반기 구체적으로 얘기하겠다"고 설명했다.

작년 7월부터 줄곧 도마 위에 올랐던 의류 건조기 이슈와 관해서는 "고객이 불편한 점을 느끼는 것은 건조기 핵심 기능과는 별개"라며 "적은 금액을 주는 것보다 10년 무상서비스 개념이 훨씬 더 큰 대책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조금 더 시간이 걸려도 프리미엄 혁신 제품으로 내놓기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유럽과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까지 진입하면서 세계 주요 TV 판매업체들이 대부분 들어왔다며, LG디스플레이가 조만간 연간 1000만대에 공급해야 할 OLED 패널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20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가 글로벌 300만대가 넘지 않는 상황인 만큼, 2000달러 이하 시장도 공략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CES 전시에 대해서는 "너무 같은 제품이 많았다"며 "기술 차별화를 잘하고 진입장벽을 둬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소감을 내놓았다.

한편 삼성전자가 화질 선명도(CM)를 개선한 제품을 내놓은 것은 "한국 초일류 TV 업체들이 경쟁하면서 어느 정도 표준은 맞춰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경쟁사가 맞춘다는 건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LG전자는 삼성전자의 화질 선명도가 50% 미만이라며 8K 기술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라스베이거스(미국)=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권봉석 LG전자 CEO(최고경영자) 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하고 주요 사업 전략과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권봉석 LG전자 CEO(최고경영자) 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하고 주요 사업 전략과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