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정부가 수도권 아파트 청약 1순위 자격 요건으로 해당지역 최소 거주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자 반발이 거세다. 정부는 실거주보다는 투자 목적을 가진 청약자를 배제한다는 취지인데, 내 집 마련을 하려던 실수요자도 피해를 본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작년 12월 31일 입법 예고한 청약 1순위 의무거주기간 관련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실린 국토부 홈페이지에 300건이 넘는 댓글이 달렸다. 대부분의 댓글이 개정안에 반대하는 내용이다.
주택공급 규칙 개정안은 수도권 투기과열지구나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에서 주택 청약 1순위를 부여받는 최소 거주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내용이 핵심이다.
입법 예고가 끝나고 규제심사 등을 거치면 다음달 말부터 개정된 규칙이 시행되고 시행일 이후 입주자를 모집하는 단지부터 적용된다.
대상지는 서울 25개구, 과천, 광명, 성남 분당, 광명, 하남 등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와 과천 지식정보화타운, 성남 위례, 하남 미사·감일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로 수도권 유망 지역은 대부분 포함됐다. 이는 12·16 부동산 대책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앞서 과천 등지에서 주택 청약 1순위를 받으려고 실거주 목적도 없이 전월세를 얻어 위장 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자 정부가 마련한 대책이다.
이에 최근 1년간 서울 등지에 거주하며 청약을 준비했으나 갑자기 강화된 기준으로 1순위 자격을 얻지 못하게 된 시민들이 크게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내 집 마련을 준비해온 '실거주 목적의 서민'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정부 정책을 믿고 기다린 서민인데, 청약의 희망을 안고 기다린 입장에서 갑자기 거주요건을 1년에서 2년으로 변경한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1년 이상 조건을 충족한 실수요자에게는 유예기간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중에는 원래 해당 지역 주민이었으나 최근 해외나 지방 근무를 다녀와 실거주 2년 요건을 채우지 못해 불이익을 보게 됐다는 댓글도 적지 않다.
또 다른 누리꾼은 "서울에서 태어나 쭉 살다가 직장 때문에 지방에서 2년을 보내고 돌아와 작년 말 실거주 1년을 채우고 차근차근 청약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기준이 바뀐다고 한다"며 "입법 전에 전입한 사람은 예외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 등 수도권 집값이 많이 오른 상황에서 올해부터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으로 분양가는 낮아져 서민층이 내 집 마련을 하려면 분양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니 청약 규정 강화에 민감한 반응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다소 당혹스러워하면서도 시행 유예 조치 등은 전례가 없어 어렵다는 입장이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매매 및 전·월세 정보가 부착돼 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