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새로운 모빌리티 전략을 제시하며 대변신을 선언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CES 2020'이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대차가 단순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변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동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해서 역동적인 인간중심의 미래 도시 구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목적기반모빌리티(PBV)-모빌리티 환승거점(허브)'을 연계하는 방안은 이를 구체화한 청사진이다. 현대차의 미래 목표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단순히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에 머물지 않겠다는 의지다. 그 연장선에서 글로벌 최대 모빌리티기업 우버와 협력해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현대차는 새로운 이동수단 'S-A1'을 최초로 공개했다.
이같은 현대차의 미래전략은 국내 업계가 나가야 할 방향을 여러 방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미 세계 주요 자동차업체들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플라잉카 개발 등에 박차를 가하면서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올해 CES에서도 이런 추세는 두드러진다. 각 업체들의 부스는 그야말로 첨단기술의 경연장으로, 향후 10년 어떤 미래가 펼쳐질 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이 앞으로도 자동차 강국으로 살아남으려면 반드시 가야할 길을 CES가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우리 업계가 도약하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구조와 체질을 바꿔야한다. 이를 위해선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래차 성공 관건은 이같은 기업의 혁신 노력을 정부 또는 정치권이 제대로 뒷받침하느냐에 달려있다. 하지만 우리는 각종 규제와 강성노조에 발목이 잡혀있는 상황이다. 타다 사례에서 보듯 모빌리티 혁신은 페달을 밟기도 전에 규제의 덫에 갇혀 정체를 면치못하는 신세다. 미래차를 뒷받침할 규제개혁은 국회에서 낮잠을 자거나 정부 부처 간 이견으로 갈팡지팡이다. 게다가 걸핏하면 파업하는 노조로 인해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구조에 얽매여 있다. 현대차가 대변신을 선언했다. 각종 규제가 대변신의 장애물이 돼선 안된다. 정부는 규제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 지금 바꾸지않으면 머지않은 미래에 큰 비용을 치를 수 밖에 없다.
이같은 현대차의 미래전략은 국내 업계가 나가야 할 방향을 여러 방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미 세계 주요 자동차업체들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플라잉카 개발 등에 박차를 가하면서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올해 CES에서도 이런 추세는 두드러진다. 각 업체들의 부스는 그야말로 첨단기술의 경연장으로, 향후 10년 어떤 미래가 펼쳐질 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이 앞으로도 자동차 강국으로 살아남으려면 반드시 가야할 길을 CES가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우리 업계가 도약하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구조와 체질을 바꿔야한다. 이를 위해선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래차 성공 관건은 이같은 기업의 혁신 노력을 정부 또는 정치권이 제대로 뒷받침하느냐에 달려있다. 하지만 우리는 각종 규제와 강성노조에 발목이 잡혀있는 상황이다. 타다 사례에서 보듯 모빌리티 혁신은 페달을 밟기도 전에 규제의 덫에 갇혀 정체를 면치못하는 신세다. 미래차를 뒷받침할 규제개혁은 국회에서 낮잠을 자거나 정부 부처 간 이견으로 갈팡지팡이다. 게다가 걸핏하면 파업하는 노조로 인해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구조에 얽매여 있다. 현대차가 대변신을 선언했다. 각종 규제가 대변신의 장애물이 돼선 안된다. 정부는 규제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 지금 바꾸지않으면 머지않은 미래에 큰 비용을 치를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