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2028년 상용화 선언에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사업 가속
전기추진 방식으로 수직이착륙
시속 290㎞로 최대 100㎞ 이동

정의선(왼쪽)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행사에서 미래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정의선(왼쪽)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행사에서 미래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플라잉 카' 콘셉트 공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8년 뒤인 오는 2028년 '하늘을 나는 차(플라잉 카:Flying car)' 사업 상용화를 선언했다. 앞으로 8년 뒤면 현대차가 이른바 '하늘을 나는 차'에 대한 본격적인 양산 체제를 갖출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세계 최대 모빌리티 업체인 우버와 손잡고 세계 최초로 선보인 콘셉트 모델 'S-A1'가 신호탄으로, 앞으로 3년 내 시범 운영에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 수석부회장은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인 CES(소비자가전쇼) 2020 개막 하루 전인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행사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른바 '플라잉 카'로 불리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상용화에 대해 "2028년쯤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에 따르면 UAM은 하늘길을 활용해 '지상의 혼잡한 교통 정체로부터 해방'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비행의 민주화'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전기 추진 기반으로 수직이착륙(eVTOL)을 할 수 있는 PAV(개인용비행체)를 활용해 활주로 없이도 도심 내 이동을 가능케 한다. 완성차 제조에 집중했던 현대차의 항공시장 진출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날 행사에서 현대차는 PAV 콘셉트 모델 'S-A1'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는 전기 추진 방식의 수직이착륙 기능을 적용하고 승객 4명과 조종사 1명 등 모두 5명이 탑승할 수 있게 설계했다. 우버에 따르면 최고 비행 속력은 시속 290㎞로, 최대 약 100㎞를 비행할 수 있다.

100% 전기 추진 방식으로 구동하며 이착륙 장소에서 승객이 타고 내리는 5~7분여 동안 재비행을 위한 고속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다. 상용화 초기에는 조종사가 직접 조종하지만, 자동비행기술이 안정화 된 이후부터는 자율비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에릭 앨리슨 우버 엘리베이트 총괄은 "현대차는 세계 완성차 업체 중 UAM 분야 우버의 첫 번째 파트너로 고객들이 안전하고 저렴하게 비행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매우 빠르고 훌륭한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의 제조 역량과 우버의 기술 플랫폼이 힘을 합치면, 도심 항공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큰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우버 등 다양한 글로벌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세계 최고 수준의 PAV 개발, 플릿 서비스와 유지 보수, 이착륙장 개발 등 UAM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CES 2020 기간 7200㎡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해 실물 크기의 PAV 콘셉트 S-A1을 전시한다. 실제 비행 되는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2.2m 위로 설치됐으며, 프로펠러가 구동되는 장면을 연출할 예정이다.

라스베이거스(미국)=김양혁기자 m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