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경기도(도지사 이재명)는 최근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한 경기도민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고자 올해 역점사업으로 임대주택을 늘리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공공임대주택 5만1000호를 추가로 공급하며 중산층을 위한 민간임대 사업도 다시 추진한다. 임대주택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각종 택지개발사업 때 역세권을 비롯한 부동산 요지에 임대주택을 지어 공급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는 상한제로 묶여있는 데다, 분양가가 다소 올라가더라도 주변 시세와의 차익을 일부 환수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경기도의 판단이다.

이런 환수 효과를 통해 임대주택 사업비를 확보해 주거 안정을 통한 도민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도민이 공유하는 공공자산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비싼 땅에 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는 일종의 역발상은 경기도 공공주택 정책을 주관하는 경기도시공사가 제시했다.

택지개발사업에서 일반분양을 통해 취득하는 분양수익이나 임대를 통해 얻은 임대보증금 수익이 비슷하다는 게 공사의 분석이다.

이재명 경기지사도 최근 기자들과 만나 "택지개발을 할 때도 가장 좋은 역세권에 임대 아파트를 지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분양가 규제 정책 아래에서는) 분양받는 (소수) 사람에게만 로또가 된다. 처음 분양할 때는 실수요자가 받겠지만, 이후 거래를 통해 다주택자들의 손으로 들어가 결국은 일종의 민간임대 투기용으로 바뀐다. 그래서 주택은 임대로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는 이와 관련, 3기 신도시 예정지를 중심으로 역세권 임대주택 시범사업 대상지를 찾고 있다.

도와 경기도시공사는 아울러 지난해 도의회에서 심의 보류된 '중산층 임대주택 사업'도 의회를 설득해 재추진한다.

이 사업은 수원 광교신도시 내 옛 법원·검찰청 부지에 전용면적 74·84㎡의 고급 임대주택 549호를 지어 공급하는 것이다.

사업 방식은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에 근거한 '공공지원 민간임대 리츠'로 추진한다.

주택관리기금과 도시공사, 민간사업자가 임대주택리츠를 설립해 공동 운영하며 도시공사는 자본금 892억원 중 19%인 169억원을 출자하는 방식으로 참여한다.

중산층 임대주택은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주변 전세 시세의 90% 수준의 보증금과 월세를 내고 20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이런 역세권 공공임대주택과 중산층 민간임대주택 사업은 현행 분양 중심 주택정책의 대체 모델로, 주택 소유 개념을 전환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경기도는 올해 공공임대주택 5만1000호 가운데 5285호에 대해 경기도시공사를 통해 직접 공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햇살 G-하우징, 장애인 주택 개보수 등 주거환경 개선 사업과 매입임대주택 신규 입주자 임대보증금 지원, 도시근로자 전세보증금 대출 지원, 저소득층 전세금 대출보증 및 이자 지원 등 주거비용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이재명(사진) 경기도지사가 지난 1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020년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재명(사진) 경기도지사가 지난 1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020년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