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전문가 10명 중 7명은 올해 경제성장률 2.0% 달성을 공언한 국책연구기관보다 보수적인 시각의 민간경제연구기관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1일 조사됐다. 정부의 내년도 성장률 목표치를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도 과반을 넘겼다.

디지털타임스가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경제 분야 대학 교수, 국책·민간 경제연구소, 증권사 애널리스트, 금융권 종사자 등 경제 전문가 60인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지난 19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확대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올해 성장률을 2.0%로 제시했다. 애당초 2.6~2.7%였던 성장률 전망치를 점진적으로 낮춰 2.0% 대를 간신히 방어할 것으로 본 것이다. 이는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과도 맥을 같이한다. KDI는 지난달 '2019년 하반기 경제전망' 브리핑에서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횡보하고 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등 심리지표가 반등했다" 등 이유를 들어 올해 성장률을 2.0%로 내다봤다.

그러나 전문가들 중 '정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더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13%(8명)에 불과했다. 대신 '민간경제연구소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더 신뢰한다'는 응답자가 72%(43명)에 달했다. 지난 9월 조사 때 민간경제연구소를 더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84%였던 것에 비하면 소폭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다수는 정부 분석을 더 신뢰하지 않는 셈이다. 정부와 민간 모두를 신뢰할 수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10%(6명),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5%(3명)였다.

다소 낙관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정부의 내년 성장률 2.4% 목표치와 관련해서도 응답자 중 63%(38명)는 달성하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달성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17%(10명), '모르겠다'는 20%(12명)였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