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전국 고가아파트와 저가아파트 가격 차가 9년여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1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6.83으로 2011년 1월(6.91) 이후 8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차가 심하다는 뜻이다.

작년 12월 전국의 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835만원으로 직전달 평균 1825만원보다 1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5분위 고가아파트의 지난달 평균 가격은 7억3957만원으로 11월 평균 7억1996만원과 비교해 1961만원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 11월 6.65에서 12월 6.83으로 커졌다.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이런 아파트값 양극화 현상은 뚜렷해졌다.

지난달 경기·부산·대구·대전·울산 등의 5분위 배율은 2013년 KB국민은행에서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경기도의 지난달 1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1억5344만원으로 11월보다 25만원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5분위 아파트 평균 가격은 6억186만원으로 처음 6억원을 돌파하며 전월 대비 1206만원 올랐다.

부산시의 지난달 1분위 아파트 가격은 평균 1억1997만원으로 전월 대비 24만원 하락했지만, 5분위 고가아파트 가격은 평균 4억8950만원으로 전월보다 1452만원 상승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지방에서도 대도시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전용면적 84㎡ 이하 아파트가 10억원을 넘겨 거래되는 경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도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지난달 5분위 배율은 4.75로 작년 10월 4.7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서울의 지난달 1분위 아파트 가격은 평균 3억7019만원, 5분위 고가 아파트 가격은 평균 17억6158만원을 기록했다.

다만, 신축 중심의 '똘똘한 한 채' 바람은 정부의 12·16 부동산대책 영향으로 올해 주춤해질 가능성이 있다. 12·16대책이 9억원 초과의 고가주택과 15억원 초과의 초고가주택을 정조준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12·16대책의 후속조치로 지난달 17일부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내 시세 15억원 초과 주택은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하고 9억∼15억원 주택은 9억원 초과분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기존 40%에서 20%로 절반 축소했다.

박 위원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새 아파트와 학군 수요를 중심으로 주거 양극화가 심화했다면 올해는 정부의 12·16대책에 의한 '갭메우기' 장세가 나타나며 이런 현상이 둔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가 9년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가 9년 만에 최대치로 벌어졌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