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용성 일대도 관망세 뚜렷
내년 설 이후 매물 나올 듯

12·16 대책 첫 주말, 대책의 직격탄을 맞은 강남권 주택 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졌다. 사진은 잠실의 한 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12·16 대책 첫 주말, 대책의 직격탄을 맞은 강남권 주택 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졌다. 사진은 잠실의 한 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12·16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첫 주말을 맞은 강남권 아파트 시장이 짙어진 관망세로 매물과 매수세가 뚝 끊기면서 썰렁한 분위기를 보였다.

2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집주인들은 매도, 보유 여부를 놓고 셈법이 복잡해졌고 매수 예정자들은 집값 하락을 기대하며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대출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비강남권의 일부 중고가 아파트 중에는 반사이익을 기대해 호가를 높이겠다는 매도자도 있었지만 대체로 대책의 파장을 관망하고 있다.

보유세 부담이 급증한 강남권 집주인들은 아직 집을 팔아야 할지, 언제쯤 매물을 내놔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자산가들은 별로 세금 걱정을 하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실거주해온 은퇴자 등은 보유세 부담이 크다고 말한다"며 "다만 세무사 상담 등을 거쳐 의사 결정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매수자들도 일단 관망하면서 한동안 '거래 절벽'이 나타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 20일 진행된 개포 디에이치아너힐스 보류지(미매각 물건)는 5가구 매각에서 전용 106㎡ 1가구만 낙찰되고 나머지는 모두 유찰되기도 했다. 최저 입찰금액이 27억∼38억원으로 시세 수준에 높게 책정된데다 12·16대책 이후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 15억원 초과에 대한 대출 금지 등이 미분양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일부 사정이 급한 집주인들은 가격을 낮춰 급매물을 내놓는 모습도 포착된다.

최근 일몰제로 조합설립인가가 취소된 서초구 잠원동의 신반포12차 114㎡(전용면적 105㎡)의 경우 당초 21억원에 내놨다가 대책 발표 이후 20억5000만원으로 5000만원 낮췄다.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양천구 목동 아파트 단지도 대책 발표 이후 거래가 뚝 끊겼다.

아직 재건축 첫 단추도 못 끼운 곳이라 분양가상한제 영향은 없고 대출·세금 강화로 일단 관망하는 분위기라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신시가지아파트 주력 평형인 전용 84㎡ 미만은 대부분 15억원 미만이지만 팔겠다는 다주택자도, 사겠다는 매수자들도 별로 없다.

마포·용산·성동구 등 '마용성' 일대도 관망세가 뚜렷하다. 용산구 한강로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한강로 일대 고가 아파트는 물론이고 벽산이나 e편한세상 등 전용 84㎡ 시세가 12억∼13억원인 아파트들도 거래 없이 조용하다"며 "대책 이후 내놓은 매물도 없지만 매수세가 움츠러들어서 원래 있던 매물도 거래가 안 된다"고 설명했다.

현지 중개업소들은 양도세 중과를 피하려는 다주택자의 매물이 내년 설 연휴 이후 본격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내년 3월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돼야 보유세 부담을 실감하고 본격적으로 시세보다 가격을 낮춘 급매물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다만 정부가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배제 대상을 10년 이상 보유주택으로 한정하면서 생각보다 매물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미 오래전부터 다주택자들이 양도세 중과를 피해 집을 파는 대신 임대사업등록, 증여 등으로 방향을 선회한데다 양도세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세제 부분에서 실거주 여부를 따지면서 시장에 내놓는 매물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