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영세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빚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1만7000명이 보유한 4714억원의 부실채권을 소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까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이 보유한 총 1조6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소각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새 출발을 지원키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서울 G밸리컨벤션에서 '부실채권 소각 및 금융지원 시상식'을 가졌다.

부실채권 소각은 금융기관의 대출금 중 회수가 불확실한 채권 행사를 종결해 채무자의 상환 부담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는 2021년까지 단계적으로 부실 채권을 매각 또는 소각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정책금융기관의 실효성 없는 채권 소각으로 채무 굴레에서 벗어난 이후 재창업에 성공한 사례가 발표됐다.

이어 열린 시상식에서 기술기반 투자확대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에 공헌한 '신한은행'과 소셜벤처 임팩트 보증 및 예비 유니콘 특별보증 도입으로 '제2벤처 붐 확산'에 기여한 '기술보증기금'이 대통령 단체 표창을 받았다.

또 강원 산불 시 소상공인 위기 극복에 노력한 강원신용보증재단이 중기부장관 표창을 수상하는 등 모두 78점의 표창이 수여됐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단순한 채권소각을 넘어 전국의 47개 재기운영센터와 재도전 정책자금 공급, 재기지원 교육 및 컨설팅 등을 통해 다시한번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12일 서울 G밸리컨벤션에서 열린 '부실채권 소각 및 금융지원 시상식'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왼쪽 다섯번째)이 금융지원상을 수상하는 금융인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12일 서울 G밸리컨벤션에서 열린 '부실채권 소각 및 금융지원 시상식'에서 박영선 중기부 장관(왼쪽 다섯번째)이 금융지원상을 수상하는 금융인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