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이상현 기자] 서울 집값 급등이 이어지면서 올해 서울에서 입주를 시작한 지 5년 이하인 신축아파트 가격이 처음으로 입주 30년을 초과한 노후 아파트 가격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서비스업체 직방은 올해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은 신축이 3530만원, 노후아파트가 3262만원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올해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격은 0.92배다.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평당 매매가는 2013년 1.42배, 2014년 1.40배, 2015년 1.34배, 2016년 1.22배, 2017년 1.18배, 2018년 1.06배로 매년 가격 격차가 줄어들다 올해 역전됐다.

예를 들어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있는 한강맨션(1971년 입주)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6935만원이었다가 올해 6928만원으로 낮아졌다. 반면 같은 지역인 용산구 이촌동의 래미안 첼리투스(2015년 입주)는 3.3㎡당 평균 매매가가 지난해 4970만원에서 올해 5692만원으로 급등했다.

강남3구는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2015~2018년 1.23~1.26배를 유지하다 올해 1.01배까지 격차가 줄었다.

또 서울 집값 상승세를 이끌고 있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의 3.3㎡ 당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의 매매가는 0.89배로, 신축아파트가 노후 아파트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강남권 3구와 마용성 지역 이외의 서울은 2017까지 노후 아파트가 신축 아파트보다 거래 가격이 높았으나 작년부터 가격 역전 현상이 발생해 올해 0.86배로 격차가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분양가가 상승하고,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이상현기자 ishsy@dt.co.kr

신규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격 비교. <직방 제공>
신규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격 비교. <직방 제공>
서울 지역별 신규 아파트 대비 노후아파트 매매가격 비교. <직방 제공>
서울 지역별 신규 아파트 대비 노후아파트 매매가격 비교. <직방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