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AI 기반 안내 시스템 시연 성공
30여 개 센서로 화재위험 평가 및 안전 대피 표시

기계연이 개발한 'AI 기반 대피로 안내 시스템'이 대전지하철 역사에서 시연된 가운데, 화재 발생을 가정한 상황에서 승객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바닥에 녹색 조명으로 안내해 주고 있다.  기계연 제공
기계연이 개발한 'AI 기반 대피로 안내 시스템'이 대전지하철 역사에서 시연된 가운데, 화재 발생을 가정한 상황에서 승객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바닥에 녹색 조명으로 안내해 주고 있다. 기계연 제공
지하철 화재 시 AI(인공지능)가 대피를 돕는 기술이 나왔다. 지하철 역사 등 다중이용시설의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은 9일 대전도시철도 1호선 대전시청역에서 'AI 기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시연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시연에 선보인 AI 기반 안내 시스템은 한형석 기계연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것으로, 지하철 역사 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안전한 곳으로 승객을 대피하도록 도와준다.

이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 내부에 설치된 30여 개의 사물인터넷 센서가 감지한 온도와 일산화탄소, 연기농도 등에 따라 화재 위험성을 평가해 최적의 대피로를 안내해 준다. 안내 정보는 모니터와 천정에 설치된 130여 개의 레이저 표시기로 전달, 지하철 바닥면에 밝은 조명으로 표시돼 승객들의 안전한 대피를 돕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시연은 지하철 역사 2층과 지하 1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지하 1층 통로에서 불이 났을 때를 가정해 이뤄졌으며, AI 기반 안내 시스템은 불이 난 위치와 시간에 따라 녹색 유도등을 통해 다른 출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성공적으로 안내했다.

연구팀은 관련 기술은 대전지역 기업에 이전해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형석 기계연 박사는 "AI를 활용해 승객이 골든타임 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스템으로, 시민들의 안전한 삶 구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전시가 지역사회 문제를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해결하기 위한 '대전시-연구기관협력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