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인인증서 없이 지방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위택스가 개편된다.
행정안전부는 9일부터 공인인증서 없이 지문·패턴·문자·비밀번호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위택스에 '디지털 원패스' 방식을 도입한다고 8일 밝혔다.
디지털 원패스는 하나의 아이디로 다양한 정부의 온라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증방식이다. 회원가입만 하면 공인인증서 없이도 로그인이 가능하다. 전자정부 사이트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아이디와 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이메일 등 정보를 입력한 뒤 지문·안면·패턴·간편번호(PIN)·공인인증서·문자·패스워드 중 인증방식을 선택하면 완료된다.
이에 따라 공인인증서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가지고 다니거나, 사용하는 PC마다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위택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이트가 개편돼 고지납부 현황, 체납내역, 환급금액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고, '나의 지방세 캘린더'를 통해 연간 세금 납부현황도 한 눈에 확인 가능하다.
위택스 초기화면에는 납세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빠르게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국민이 매월 알아야 할 지방세 신고·납부 안내 △별도 회원가입 없이 전자납부번호만 알아도 세급납부가 가능한 빠른 납부 등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전면 배치했다.
고규창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이번 개선은 위택스 서비스 불편사항에 대한 의견수렴 결과를 반영해 마련한 것"이라며 "국민 눈높이에서 맞춤형 납세편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은진기자 jineun@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