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8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다시 한 번 1대1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청와대 측은 "공식 제안을 받은 바 없다"며 영수회담에 응할지 여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황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 위기상황 극복을 논의하기 위한 대통령과의 회담을 제의한다"면서 문 대통령과의 회담을 요청했다. 황 대표는 말한 위기상황이란 △자유민주주의 위기 △외교안보의 위기다. 황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현재 민주당은 다른 범여권세력과 결탁해서 '선거법'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법'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태워서 일방적으로 처리하려 하고 있다"면서 "'선거법'이 통과되면 입법부도 완전히 좌파 정당에게 장악되고, 문재인 정권은 이런 입법부 독재를 통해서 장기집권을 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 대표는 또 "'공수처법'이 통과되면 삼권분립의 원칙은 파괴되고, 대통령이 사법부를 더 강력하게 통제하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게 될 것"이라며 "문재인 정권은 이런 양대 악법을 패스트트랙에 태워서 통과시키려고 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황 대표는 이어 "문재인 정권은 지난 2년 반 동안 북한의 북핵 폐기와 관련한 어떤 실질적인 성과도 내지를 못했다. 미국과 북한의 중재자를 자처했지만, 실제로는 북한의 대변인이 됐다"며 "북한이 온갖 패악을 일삼아도 한마디 대꾸 없이 눈치만 살피면서 동맹국·우방국과의 우정은 현명하지 못하게 함부로 다뤘다"고 비판했다. 황 대표는 특히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GISOMIA) 종료가 한미일 삼각안보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황 대표는 "문 대통령이 맹목적인 민족주의 정서에 영합해서 지소미아의 최종적 파기를 결정한다면 한미동맹은 회복 불가능한 파탄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했다.

황 대표가 이날 회의에서 문 대통령에게 콕 짚어 1대 1회담을 하자고 제안한 것은 아니지만 황 대표가 여야가 모두 참여하는 영수회담에 부정적이었던 전례에 비춰보면 1대 1회담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김도읍 한국당 의원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황 대표가 제안한 '회담'이 1대1 영수회담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전희경 의원도 "깊이 있는 대화를 하려면 그런(1대 1) 형식으로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청와대 측은 아직 한국당에 회신을 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황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은 공식적으로 사전에도, 사후에도 전달받은 바 없다"고 했다. 김미경·임재섭기자 the13ook@dt.co.kr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