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전 연평균 60건에서
2015년 이후 105건으로 늘어

자율주행차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자율주차 서비스 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자율주차 서비스 . 현대기아차 그룹 제공
자율주행차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자율주차 서비스 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자율주차 서비스 . 현대기아차 그룹 제공


자율주행차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자율주차 관련 특허 선점을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23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4년 이전 연평균 60건에 그쳤던 자율주차기술 관련 특허는 2015년 이후 연평균 105건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2014년 자울주행차 관련 국제협약인 '비엔나 협약'이 개정되고, 2015년 자율주행로드맵이 발표되면서 관련 기술개발이 가속화된 데 따른 영향으로 파악된다.

최근 10년간 출원 기술을 보면 주차장 빈자리 표시가 전체 출원의 29%(223건)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가변교통 지시 28%(218건), 충돌방지시스템 16%(122건), 교통량 검출 14%(107건) 등의 순으로 출원이 활발했다.

출원인별로는 중소·중견기업(30%, 234건), 대기업(24%, 191건), 외국기업(18%, 138건), 대학·연구기관(14%, 108건), 개인(13%, 104건) 등의 순이었다.

중소기업과 개인은 주차장 개별 빈자리 표시 분야 출원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대기업과 외국기업, 대학·연구기관은 가변 교통지시 분야 출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과 개인은 상대적으로 제어가 쉽고 기존 주차시설을 개선하는 응용분야 기술개발에 주력하는 반면, 대기업과 외국기업, 대학·연구기관은 센서 등이 융합된 신호체계의 교통지시를 전송해 주는 기초분야 기술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는 게 특허청의 설명이다.

전일용 특허청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자율주행서비스 중 자율주차 서비스는 제한된 지역에서 저속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상용화될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며 "앞으로 AI 기술을 이용한 주행경로 탐색, 사물인터넷 기술이 융합된 주차 위치표시, 5G기술을 활용한 차량과 사물 간 통신 분야에 대한 특허출원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