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차 개발·서비스 실증 MOU
정부가 울산시, 세종시와 함께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울산시청에서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관련 자율주행차 제조·공급자인 울산시, 서비스·수요자인 세종시 등과 '자율주행차 개발 및 서비스 실증을 위한 상호협력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가혁신클러스터는 비수도권 14개 시·도별로 일정 거리와 전체 면적을 고려해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혁신거점을 연계하고 지역 혁신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거점이다.이번 MOU에 따라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는 2020∼2022년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세종시와 세종테크노파크는 울산시에서 개발한 친환경자동차(전기·수소차) 기반 자율주행차를 이용해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울산시는 미래형 자동차부품 신기술 개발 사업에 적극 투자해왔다. 아이오닉 등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차를 제작하고, 커넥티드 자동차 기술인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프라를 울산 북구 이예로 가대 교차로∼중산 교차로 7㎞ 구간에 구축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지난해 임시 운행 허가도 받았다.
세종시는 올해 7월 자율주행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세종 시내 BRT(Bus Rapid Transit) 도로에서 자율주행버스 상용화 서비스를 위한 시험 운행하고 있다.
김승룡기자 srkim@dt.co.kr
정부가 울산시, 세종시와 함께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울산시청에서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관련 자율주행차 제조·공급자인 울산시, 서비스·수요자인 세종시 등과 '자율주행차 개발 및 서비스 실증을 위한 상호협력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가혁신클러스터는 비수도권 14개 시·도별로 일정 거리와 전체 면적을 고려해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혁신거점을 연계하고 지역 혁신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거점이다.이번 MOU에 따라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는 2020∼2022년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세종시와 세종테크노파크는 울산시에서 개발한 친환경자동차(전기·수소차) 기반 자율주행차를 이용해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울산시는 미래형 자동차부품 신기술 개발 사업에 적극 투자해왔다. 아이오닉 등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차를 제작하고, 커넥티드 자동차 기술인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프라를 울산 북구 이예로 가대 교차로∼중산 교차로 7㎞ 구간에 구축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지난해 임시 운행 허가도 받았다.
세종시는 올해 7월 자율주행차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세종 시내 BRT(Bus Rapid Transit) 도로에서 자율주행버스 상용화 서비스를 위한 시험 운행하고 있다.
김승룡기자 sr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