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최근 5년간 서울주택도시공사(SH) 공공임대아파트 거주민 2가구 중 1가구가 퇴거할 때 원상복구비를 부담했으며, 총금액은 32억8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서울시가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SH공공임대 퇴거세대 원상복구비 납입 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7월 현재까지 SH공공임대에서 퇴거한 2만4000가구 중 절반이 넘는 1만2740가구(53%)가 원상복구비로 32억7952만원을 수납했다. 1가구당 평균 25만7000원의 비용을 지출했다.

SH 공공임대 아파트 퇴거민 중 원상복구비를 부담한 가구 비율은 해마다 증가했다.

2015년 퇴거한 4920가구 중 49%인 2412가구가 복구비를 냈지만 작년에는 5540가구 중 56%인 3130가구가 복구비를 냈다.

복구비 수납액은 2015년 5억5964만원에서 작년 8억7604만원으로 1.5배 증가했으며 1가구당 평균 비용은 23만2000원에서 28만원으로 높아졌다.

올해는 7월까지 원상복구비 발생가구 비율이 3303가구 중 1802가구로 55%에 이르렀으며 가구당 평균 부담액은 27만4000으로 조사됐다.

지난 5년간 원상복구비를 가장 많이 낸 곳은 서초구 래미안퍼스티지 장기전세 59㎡ 세입자로 퇴거 시 1600만원을 부담했다. 이어 강남구 세곡리엔파크 장기전세 84㎡ 퇴거자 1500만원, 서초구 래미안퍼스티지 장기전세 84㎡ 가구 1300만원 순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공공임대 파손 및 멸실 여부를 최소화하는 것은 거주자로서 최소한의 의무"라며 "하지만 관련기관 또한 정기적으로 원상복구비에 대한 내용을 고지해 개별 가구가 사전에 지출 여부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최근 5년간 SH 공공임대아파트 거주민들이 퇴거할 때 부담한 원상복구비가 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일대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최근 5년간 SH 공공임대아파트 거주민들이 퇴거할 때 부담한 원상복구비가 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일대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