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울러 AI 전략 키워드로 '진화·접점·개방'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에 관계 없이 내 집처럼 생활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사장은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9에서 '어디서든 내 집처럼(Anywhere is Home)'이라는 주제로 'LG 미래기술 좌담회(LG Future Talk powered by IFA)'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박 사장은 "연결성으로 소비자는 어디서든 안락함, 편안함, 익숙함 등을 제공하는 집의 본질을 느낄 수 있다"며 "스마트 TV, 냉장고, 자동차, 건물 등 주변의 모든 것이 접점으로 동작해 서로 소통하고, 배우고, 협업하며 고객의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음성 명령 기반의 인공지능이 더욱 풍부해지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기 위해서는 영상지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영상지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사장은 영상인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씽큐 핏'을 공개했다. 씽큐 핏은 3D 카메라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가 옷을 입은 상태에서도 신체를 정확히 계측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바타(가상 공간에서의 분신)를 생성한다. 실제로 옷을 입어보지 않고도 피팅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 연결된 이미지센서인 '비전 팩'도 소개했다. 그는 "예를 들어 비전 팩이 탑재된 LG 스타일러는 내부에 걸린 옷을 이미지 센서로 파악해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보낸다"며 "클라우드는 데이터를 분석해 옷의 소재를 판단하고 최적의 관리 코스를 스스로 세팅해 의류 를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LG전자의 AI 전략으로는 '진화, 접점, 개방'을 제시했다. AI와 초연결 기술을 이용해 소비자들이 자동차, 사무실, 학교 등 어디서든 내 집과 같은 익숙함과 편안함을 누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세서인 'LG 뉴럴엔진'도 공개했다. 스스로 학습하고 추론할 수 있는 '온디바이스(On-Device)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어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품 내에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고 박 사장은 설명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퀄컴 유럽지역 기술담당인 디노 플로레 부사장, 스페인 통신사 텔레포니카의 혁신연구소 최고혁신책임자인 모리스 콘티,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의 랄프 비그만 회장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했고, 국내·외 기자와 업계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