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 발족
“금융소비자 240만명, 금리 1%p 인하 효과”

내년부터 개인신용 평가체계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개편된다. 이로 인해 이른바 등급 간 '문턱 효과'가 사라져 약 240만명이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인하 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발족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기존 신용등급제는 개인 신용등급을 1~10등급으로 구분해 여신 심사와 대출금리 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개인의 신용을 등급으로 나누다 보니 등급 간 문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7등급 상위는 6등급 하위와 큰 격차가 없지만 대출 심사 때 큰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다수였다. 제도권 금융사들이 통상적으로 6등급까지만 대출을 승인해 7등급은 대부업체나 비제도권 금융사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점수제(1~1000점)는 신용평가사(CB)가 신용점수만 제공하고 금융회사가 이를 토대로 리스크 전략 등을 감안해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점수제로 개편하면 신용평가가 좀 더 정교해져 신용등급 간 문턱이 사라지게 된다. 여신 심사나 금리 결정 등 과정에서 개인신용 정도에 따라 좀 더 정교하게 차별화된 대우를 받게 되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점수제 실시로 7등급 상위자들이 제도권 금융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현재 등급제로 평가상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약 240만명이 대략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인하 효과를 볼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당국은 단계적으로 등급제를 점수제로 전환 중이다. 자체 신용위험평가 역량을 갖춘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개 시중은행은 올해 초부터 신용점수제를 시범 적용해보고 있다. 보험이나 금융투자, 여신전문금융업권 등 여타 전 업권으로는 내년부터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이날 금융당국은 신용점수제로 원활한 전환을 위해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구성했다. 전담팀은 점수제 전환과 관련 법령·제도를 정비하고 신용점수 활용기준을 구체화하는 등 역할을 담당한다. 주현지기자 jhj@dt.co.kr

향후 신용등급 점수제 추진 일정.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제공.
향후 신용등급 점수제 추진 일정.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