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이미정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주요 제조업체들의 가동률이 1년 전보다 2%포인트 이상 떨어지면서 80%를 밑돈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IT·전기전자 업종의 가동률 하락이 두드러졌으며, 석유화학과 철강 등의 국내 산업의 주력 업종이 대부분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매출 기준 500대 기업 가운데 반기보고서를 제출하고 가동률을 공시한 143개 제조업체의 상반기 가동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78.80%로 지난해 같은 기간(80.97%)보다 2.1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이 설비 투자 등을 통해 생산능력을 늘렸지만 생산실적이 그에 미치지 못하면서 전체적으로 가동률이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조사 대상 기업의 생산능력은 같은 기간 2.75% 늘었으나 생산실적은 0.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87.54%에 달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78.68%로 8.86%포인트 떨어졌다. 석유화학(-3.84%p), 철강(-2.6%p), 식음료(-0.74%p) 등도 하락했다. 반면에 제약(2.94%p), 건자재(1.17%p), 생활용품(0.81%p), 자동차·부품(0.07%p), 조선·기계·설비(0.07%p) 등은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기업별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업체인 세메스가 94.85%에서 32.53%로 62.32%포인트 급락했다. 세메스는 삼성 계열의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설비 제조업체로, 올 상반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황 둔화에 따라 가동률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한국콜마가 22.61%포인트 하락한 53.47%를 기록했고, 한화토탈(-20.43%p)과 현대건설기계(18.50%p), 대한전선(-18.42%p), LS아이앤디(-18.42%p) 등도 가동률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대로 태평양물산은 54.40%로 38.59%포인트 올랐으며, 현대삼호중공업(19.33%p)과 대웅제약(18.92%p), 오뚜기(15.03%p), 현대미포조선(14.40%p), LG전자(12.51%p) 등도 두 자릿수 이상 상승했다.

생산능력이 작년 상반기 대비 늘어난 곳은 절반에 가까운 71곳이었고 이 중 23곳(32.4%)이 생산실적이 감소했다. 세메스와 LS아이앤디, 심텍 등이 대표적으로 세메스는 생산능력을 12.72% 확대했지만 생산실적은 61.34% 줄었고 LS아이앤디도 생산능력을 12.21% 늘렸지만 실적은 14.41% 감소했다. 심텍 역시 생산능력을 6.99% 늘렸지만 실적은 11.41% 줄어들었다. 반면 한진중공업과 한화, LIG넥스원, 한샘, LG이노텍, KCC 등 23개 사는 생산능력을 줄였는데도 생산실적이 감소하며 가동률까지 하락했다. 이미정기자 lmj091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