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이미정 기자] LG화학이 미국 소재기업 유니버설 디스플레이(UDC)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발광층의 성능 개선을 위해 파트너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OLED는 전자(-)와 정공(+)이 움직이는 공통층과 실제 빛을 발하는 발광층 등 여러 개의 층(Layer)으로 구성돼 있다. 발광층이란 공통층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해 빛을 내는 핵심물질로, 특정 색을 발광하는 도판트(Dopant)와 도판트가 빛을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호스트(Host)라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에 따라 LG화학은 발광층 원재료 중 강점을 가지고 있는 저전압, 장수명 호스트(Host)를, UDC는 고효율, 고성능의 인광 도판트(Dopant)를 서로 제공해 두 물질 간 최상의 조합을 찾아낸다는 계획이다. 궁극적으로 특정 고객사를 위한 최고의 고색 재현 성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LG화학이 개발해온 호스트는 낮은 전압에서도 전하 수송이 가능해 수명이 우수하고, UDC의 인광 도판트는 뛰어난 효율, 고색재현, 장수명이 특징이다. 두 물질이 합쳐질 경우 발광층의 고색재현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유지영 LG화학 첨단소재사업본부 부사장은 "각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두 회사가 협력하는 만큼 시너지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한다"며 "OLED 시장 확대에 발맞춰 고색재현 성능이 대폭 향상된 발광층을 생산하여 고객에 적시 공급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IHS 마킷에 따르면 OLED물질 시장은 올해 10억3800만 달러에서 2022년 12억9500만 달러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미정기자 lmj0919@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