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북아 지역 다자간 정부 협의체인 광역두만개발계획(GTI)에서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 등을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김회정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중국 지린성 창춘(長春)에서 열린 GTI 19차 총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GTI는 동북아 지역개발과 경제협력 증진을 위해 한국과 중국·러시아·몽골 등 4개국이 참여한 다자간 협의체다.
김 차관보는 "안정적인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무역 원활화를 위한 실질 협력 추진, 회원국 간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면서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등 일련의 조치는 경제 외적인 이유로 글로벌 가치사슬을 교란하는 것으로 동북아와 세계 경제에 모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조속히 시정돼야 한다. 자유롭고 공정하며 안정적인 무역·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데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회원국들은 이번 총회 선언문에서 회원국들은 작년 평양 남북 정상회담과 평양공동선언을 지지하고, 지난 6월 30일 열린 판문점회동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또 2009년 GTI를 탈퇴한 북한이 재가입해 달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성승제기자 bank@dt.co.kr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김회정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중국 지린성 창춘(長春)에서 열린 GTI 19차 총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GTI는 동북아 지역개발과 경제협력 증진을 위해 한국과 중국·러시아·몽골 등 4개국이 참여한 다자간 협의체다.
김 차관보는 "안정적인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무역 원활화를 위한 실질 협력 추진, 회원국 간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면서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등 일련의 조치는 경제 외적인 이유로 글로벌 가치사슬을 교란하는 것으로 동북아와 세계 경제에 모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조속히 시정돼야 한다. 자유롭고 공정하며 안정적인 무역·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데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회원국들은 이번 총회 선언문에서 회원국들은 작년 평양 남북 정상회담과 평양공동선언을 지지하고, 지난 6월 30일 열린 판문점회동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또 2009년 GTI를 탈퇴한 북한이 재가입해 달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성승제기자 ban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