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58) 신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는 쌀 등 식량 정책과 통상 분야에 두루 밝은 농정 전문가다.
1961년생으로 대구 달성 출신인 김 장관 후보자는 경북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행시 30회로 공직에 들어왔다.
농식품부 식량정책과장, 유통정책과장에 이어 식품산업정책관, 농촌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 농식품부 차관보, 농식품부 차관 등 요직을 거쳤다.
특히 지난해에는 차관으로서 약 5개월간 공석인 장관 업무를 대신하기도 했다. 김 장관 후보자는 농축산정책 전반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도가 높아 일찍부터 농식품부 장관 후보 물망에 올랐다.
특히 식량정책과장으로 있을 때 쌀 수매제도를 폐지하고 쌀 목표가격제 도입 등 양정제도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 맞게 개편해 농가 소득 보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차관 재직 시에는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이나 '살충제 성분 계란 사태' 등 굵직한 현안을 마무리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공익형 직불제로 대표되는 쌀 직불제 개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개도국 제외 지시'가 촉발한 미래 농업 협상 등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황병서기자 BShwang@dt.co.kr
김현수 신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제공
1961년생으로 대구 달성 출신인 김 장관 후보자는 경북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행시 30회로 공직에 들어왔다.
농식품부 식량정책과장, 유통정책과장에 이어 식품산업정책관, 농촌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 농식품부 차관보, 농식품부 차관 등 요직을 거쳤다.
특히 지난해에는 차관으로서 약 5개월간 공석인 장관 업무를 대신하기도 했다. 김 장관 후보자는 농축산정책 전반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도가 높아 일찍부터 농식품부 장관 후보 물망에 올랐다.
특히 식량정책과장으로 있을 때 쌀 수매제도를 폐지하고 쌀 목표가격제 도입 등 양정제도를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 맞게 개편해 농가 소득 보전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차관 재직 시에는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이나 '살충제 성분 계란 사태' 등 굵직한 현안을 마무리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공익형 직불제로 대표되는 쌀 직불제 개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개도국 제외 지시'가 촉발한 미래 농업 협상 등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황병서기자 BShw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