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자금 차환 문제없어"
신용카드사와 캐피털사가 조달한 일본계 외화채권 자금 55억달러에 모두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용카드사와 캐피털사 등 여신전문금융사(이하 여전사)들이 조달한 일본계 자금이 올 6월 말 기준 55억6000만달러(6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자금은 여전사들이 대출채권을 자산으로 발행한 자산유동화증권(ABS)으로, 미즈호나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 등 일본계 은행이 인수한 달러 표시 외화채권이다.
금융권에서는 여전사 발행 외화채권의 약 30~40%를 일본계가 보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기준금리가 마이너스인 일본에서 영업 중인 금융사들이 여타국 금융사들보다 더 유리한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경쟁적으로 금리를 내리면서 자산 운용 수단이 마땅치 않은 글로벌 금융사들이 한국 여전사 ABS에 점점 더 관심을 가진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금융권은 이들 자금이 외형상 일본계 금융기관이 보유한 달러 표시 외화채권이지만 성격은 원화 자금 조달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분석의 근거는 일본계 금융사들이 인수한 여전사의 외화채권 100%에 채권 만기와 동일한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돼 있다는 점이다. 즉 여전사 입장에선 원화로 자금을 받고 원화로 자금을 갚는다. 외화 자금 조달과 관련한 리스크를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일본계 금융사들이 한국 여전사에 대한 외화채권 인수 규모를 줄이더라도 자금 차환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사는 자금을 원화로 운용하기에 외화가 필요 없지만 외국에서 국내보다 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며 "이에 여전사들은 외화 자금과 관련한 리스크에 노출되지 않도록 모든 외화채권에 채권 만기와 동일한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화영기자 dorothy@dt.co.kr
신용카드사와 캐피털사가 조달한 일본계 외화채권 자금 55억달러에 모두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용카드사와 캐피털사 등 여신전문금융사(이하 여전사)들이 조달한 일본계 자금이 올 6월 말 기준 55억6000만달러(6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자금은 여전사들이 대출채권을 자산으로 발행한 자산유동화증권(ABS)으로, 미즈호나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 등 일본계 은행이 인수한 달러 표시 외화채권이다.
금융권에서는 여전사 발행 외화채권의 약 30~40%를 일본계가 보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기준금리가 마이너스인 일본에서 영업 중인 금융사들이 여타국 금융사들보다 더 유리한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경쟁적으로 금리를 내리면서 자산 운용 수단이 마땅치 않은 글로벌 금융사들이 한국 여전사 ABS에 점점 더 관심을 가진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금융권은 이들 자금이 외형상 일본계 금융기관이 보유한 달러 표시 외화채권이지만 성격은 원화 자금 조달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분석의 근거는 일본계 금융사들이 인수한 여전사의 외화채권 100%에 채권 만기와 동일한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돼 있다는 점이다. 즉 여전사 입장에선 원화로 자금을 받고 원화로 자금을 갚는다. 외화 자금 조달과 관련한 리스크를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일본계 금융사들이 한국 여전사에 대한 외화채권 인수 규모를 줄이더라도 자금 차환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사는 자금을 원화로 운용하기에 외화가 필요 없지만 외국에서 국내보다 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며 "이에 여전사들은 외화 자금과 관련한 리스크에 노출되지 않도록 모든 외화채권에 채권 만기와 동일한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화영기자 doroth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