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 등으로 피해를 보는 기업의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일제히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 피해 중소·중견기업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오는 5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시중은행들은 일본 수출 규제로 피해가 예상되는 중소·중견기업에 신규 자금을 지원하고 대출금리를 최대 2.0%포인트(p) 깎아주는 등 금융지원책을 마련한다고 발표했다.
우리은행은 총 3조원 상당의 지원책을 마련했다. 먼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대표적인 수출규제 피해산업의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상생대출을 지원하고, 신보와 기보 특별출연을 통해 8월 중 5000억원을 우선 지원하며 2020년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이번 수출 규제로 자금 운용에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업체당 10억원까지 모두 1조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분할 상환도 유예하고 신규 여신이나 연장 여신에 대해서 금리를 최고 1%포인트 감면해준다.
NH농협은행도 5일부터 일본산 소재·부품 수입 기업에 할부상환금 납입을 최대 12개월 유예해 준다. 해당 기업은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상환기한을 연기할 수 있도록 했고, 신규 대출이나 상환 연기 시 금리를 0.3%포인트 낮춰주기로 했다.
KB국민은행도 피해 중소기업을 위해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한도는 정해두지 않고 해당 기업이 위기를 넘기는 데 필요한 만큼 도움을 주기로 했다. 또 기업에 환율 우대와 외국환 관련 수수료 감면·면제 혜택을 주고, '수출 규제 피해 기업 금융지원 특별대책반'도 운영한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3일 관련 임원들이 첨석한 가운데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기업영업그룹장을 대책반장으로 한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 금융지원 대책반'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긴급 현장 점검과 신속한 피해기업 현황 파악으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금융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일본의 부당함에 대해 정부가 단호한 대응을 천명한 만큼 은행들도 재빠르게 호응에 나서고 있지만 사태 장기화에 대해선 우려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시 기준금리가 내릴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은행의 수신·대출 금리가 모두 떨어지면 이자 등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