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쏘 수소탱크 공급 일진복합소재 탄소섬유 도레이첨단소재서 조달 "모든 차부품 국산화 어렵다" 지적
현대자동차 수소연료전기차 넥쏘. 현대자동차 제공
[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국내 자동차 업계가 일본산 부품과 장비 대체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국산화 비율이 높은 만큼 단기적으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되지만, 현실적으로 100%를 대체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우려다. 특히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수소연료전기차에도 일본산 부품이 들어간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가 만드는 자동차의 부품은 95% 정도를 국내 협력사로부터 조달하고 있어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된다.
완성차 업체 가운데 르노삼성자동차는 일본 부품 의존도가 비교적 높아 우려된다는 시각도 있다. 다만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 따른 생산체계로, 회사 측은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얼라이언스 내부 공급망에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지엠(GM)도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세계 생산체계에 따라 일본 영향이 제한적이다.
쌍용자동차는 티볼리와 코란도, 렉스턴 스포츠 등에 일본 도요타 계열사인 아이신의 자동변속기를 적용하고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대차도 포터에는 아이신 변속기를 쓰고 있다. 다만 차량용 자동변속기는 수출관리 대상인 전략물자에 포함되지 않아 당장 생산이 중단되는 사태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부품업계도 일본 의존도를 꾸준히 낮춰왔기 때문에 당장 타격은 없다는 입장이다. 부품업체 단체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산 부품과 소재는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수소차 '넥쏘'의 수소탱크에 사실상 일본 제품이 들어간다.
넥쏘의 수소탱크를 공급하는 일진복합소재가 수소탱크의 원료인 탄소섬유를 도레이첨단소재로부터 조달하기 때문이다. 제품 조달은 국내서 하지만, 일본계 회사인 만큼 사실상 일본에 대한 의존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이외에도 약 3만개에 이르는 자동차 부품 특성상 일본산을 완전히 국산화하거나 다른 국가에서 조달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많다. 특히 전장부품에는 일본산 소자와 커넥터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제어장치(ECU)와 관련된 수정 공진자(crystal resonator)는 일본산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