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칫 일본에게 독도를 국제 분쟁지역으로 만들 명분만 줄 수 있다는 점에 지적되고 있다.
4일 정부 및 군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와 군은 애초 6월에 실시하려다가 한일관계에 미칠 파장을 감안해 미뤄온 독도 방어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군은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방어 의지를 과시하고 외부세력의 독도 침입을 차단하는 기술을 숙련하기 위해 매년 전반기와 후반기에 해군, 해경, 공군 등이 참가하는 독도방어훈련을 해왔다. 작년은 6월 18∼19일, 12월 13∼14일에 각각 훈련이 진행됐다.
통상 훈련에는 한국형 구축함(3200t급) 등 해군 함정, 해경 함정, P-3C 해상초계기, F-15K 전투기 등 항공기가 참가한다. 이번에도 이와 유사한 전력이 훈련에 참여할 전망이다.
2017년 2월 첫 작전 배치된 AW-159 와일드캣 해상작전 헬기가 독도방어훈련에 처음 투입될지도 관심이다.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1개 분대 병력도 참가해 독도에 상륙, 외부세력으로부터 독도를 방어하고 퇴거시키는 훈련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해병대 병력은 구축함에 탑재된 헬기를 이용할 전망이다. 경북 포항에 주둔하는 해병대 신속기동부대는 한반도 전역으로 24시간 안에 출동할 수 있다.
연합통신은 군내 한 소식통을 인용, "8월 중에 독도 방어훈련을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인용된 전문가는 "한일관계 등을 고려해 미뤄왔지만, 일본 측이 계속해서 상황을 악화시키는 마당에 계획된 훈련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관계 당국에 따르면 우리 군은 한일관계에 심상치 않은 기류가 흐르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훈련 시기를 신중하게 저울질해왔다.
그러나 최근 우리와 일본과의 관계가 사실상 서로가 우방국임을 부인하는 단계에 돌입하면서 훈련시기를 연기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군 내부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우리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도 공공연이 언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합통신에서 군 관계자는 "독도 방어훈련 시행은 우리 정부가 일본의 2차 보복 조치에 따라 연장 필요성이 있는지를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는 문제 등과 연계해서 시기가 검토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황병서기자 BShw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