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척추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는 허리디스크(척추 추간판 탈출증)이 있다. 척추 뼈 속에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추간판)가 제자리에서 벗어나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허리디스크는 초기에는 허리통증에서 시작되지만 점차 증상이 심해질수록 통증이 아래로 번져 하지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운동장애, 감각이상, 대소변 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척추 추간판 탈출증은 탈출된 추간판에 의한 신경압박이 더욱 심해지기 전 가급적 초기에 의료진을 통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만성 통증이나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척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환자 개인의 증상 정도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등의 보전적인 치료만으로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쳤거나 이미 증상이 악화되어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경막외신경성형술, 고주파수핵감압술, 신경차단술 등 비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해당 시술들은 척추 통증 부위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거나 열에너지를 전달해 증상 개선을 도모하는 원리를 지닌다.
이러한 비수술 치료는 수술 없이 척추 추간판 탈출증의 통증 원인인 신경압박을 제거해 염증 및 부종을 개선하고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시술시간이 비교적 짧아 일상생활 복귀가 빠른 편인데다 수술이 어려운 고령, 당뇨 및 고혈압 환자도 시술 받을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같은 허리통증이라도 환자 개인에게 적합한 맞춤 치료가 시행되는 것이 중요하다. 디스크의 압박 정도와 통증의 강도 등이 환자마다 각기 다르고 상황에 따라 적합한 치료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크 질환에 대한 풍부한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전문의를 통한 정확한 진단을 받은 뒤 통증의 정도와 상태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세밀한 수술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척추 추간판 탈출증은 질환의 특성상 재발이 잦은 편이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재발 방지 및 예방을 위한 환자 스스로의 관리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우선 평소 척추에 부담을 주는 바닥에 양반다리를 하고 앉는 자세,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나 습관 등은 삼가야 하며, 꾸준한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허리 근력을 강화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온라인뉴스팀기자 on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