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에 이어 CE(소비자 가전) 등 전 사업부문에서 일본산 소재 재고 확보에 나섰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에 이어 다른 사업영역까지 핵심소재 수출규제를 할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 대응하는 차원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특히 재고 확보와 향후 처리 관련 비용을 모두 부담하는 조건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제계에선 삼성이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본격 가동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전 협력사에 공문을 보내 '일본에서 수입돼 삼성전자에 공급되는 전 자재를 90일 이상치 확보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재고 확보 시한을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15일 이전까지'로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측도 "구매팀장 명의로 공문이 발송된 것으로 안다"고 확인해줬다. 이 공문에는 일본이 추가적으로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만큼 사전에 재고를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아울러 재고 관련 모든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의사를 협력사에 표명했다. 재고 확보에 추가 비용이 필요하거나, 예상과 달리 재고가 남더라도 이에 대한 부담을 떠안겠다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계에선 삼성전자가 협력사에 재고 확보에 드는 비용과 남는 재고까지 모두 떠안겠다고 한 것은 그만큼 일본의 수출 규제 파장이 상당해 비상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란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5박6일간의 일본 출장에서 돌아온 다음날인 지난 13일 반도체 경영진 회의를 열고 비상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출장을 마치고 12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일본 출장을 마치고 12일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