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한 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을 위해 8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석영철 KIAT 원장은 이날 "혁신과 공공성 확보에 대한 내·외부 수요에 대응하고 KIAT를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한 초석을 다지기 위해 취임 한 달만에 체계 정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에 따라 3본부 1센터 8단 38팀(실) 체제는 3본부 1센터 9단 41팀(실)로 바뀐다. KIAT는 기관의 비전 달성과 정부 국정과제 이행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본부 구조를 재편했다. 기술혁신→기업성장→일자리 창출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본부 구조에 반영해 혁신성장본부-기업지원본부 순으로 배치했다.

혁신성장본부 안에 기술사업화를 중심으로 실증 기반, 국제협력, 규제혁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을 연계해 수혜기관이 패키지형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KIAT는 설명했다. 기업지원본부 안에 타깃군이 명확한 주요 산업·기업의 지원 기능(지역산업, 중견기업, 소재부품, 산업인력)을 집적해 기능간 시너지 효과를 유도했다.

주요 변화 중 하나는 규제혁신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규제혁신단'을 신설한 것이다. KIAT 관계자는 "규제혁신 4+1법 개정 후 산업기술진흥원이 2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기벤처부)의 규제혁신 전담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규제혁신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단 규모의 조직이 필요해진 상황이었다"며 "규제혁신단에는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산업부)와 규제자유특구(중기부) 업무를 지원하는 팀을 배치해 다부처를 포괄하는 규제혁신 서포트타워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사회적 가치 업무를 총괄하는 본부 직속 부서로 '사회적가치실'을 신설했다. 일자리창출, 상생협력과 지역발전, 안전· 환경, 균등한 기회, 윤리경영 등 5대 사회적 가치 영역에 대해 전략 수립부터 과제추진을 총괄 전담하게 된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한 지역혁신지원센터 업무, 산업기술혁신법에 의거한 연구장비관리 전문기관 업무 등 기관의 법정 기능 추가에 따라 관련 팀도 신설됐다.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