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의 일본 의존도가 지난 9년 새 큰 폭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의 자립화 지원에 나설 방침인 만큼 향후 의존도는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7일 통계청의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내에 공급된 수입 제조업 중간재(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등) 중 일본산의 비중은 15.9%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0년 1분기에 25.5%인 것과 비교하면 9년 새 9.6%포인트나 하락했다.
수입 중간재 중 일본산 비중은 그동안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였다. 2014년 1분기에 18.1%로 처음으로 20%대를 밑돌았다. 이어 17∼18%대를 유지하다가 작년 3분기 15.7%까지 떨어진 뒤 올 1분기도 15%대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단일 국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일본이 2014년 1분기에 중국에 점유율 1위를 내주고서 이후 한 번도 중국을 넘어서지 못했다.
중간재를 포함한 전체 제조업 국내 공급을 보더라도 일본산의 비중은 크게 줄었다. 2010년 1분기 23.9%에서 올해 1분기 13.7%로 10.2%포인트 내려갔다. 9년 새 일본산 점유율이 크게 하락한 제조업 업종은 담배(-75.8%포인트), 비금속 광물제조(-41.4%포인트),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30.4%포인트),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22.2%포인트), 자동차 및 트레일러(-21.2%포인트),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15.3%포인트) 등이다.
전체 일본산 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의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게 현실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에 우리 정부가 소재 자립화 강화 전략으로 맞서면서 일본산의 점유율 하락 추세는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 정부는 내년부터 10년간 반도체 소재 부품·장비 개발에 매년 1조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다. 일반 소재·부품·장비의 경우 2021년부터 6년간 5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중 부품 소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과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웠던 품목에 대해 이번 일본의 조치가 오히려 국산화를 가속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황병서기자 BShwang@dt.co.kr
7일 통계청의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내에 공급된 수입 제조업 중간재(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등) 중 일본산의 비중은 15.9%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0년 1분기에 25.5%인 것과 비교하면 9년 새 9.6%포인트나 하락했다.
수입 중간재 중 일본산 비중은 그동안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였다. 2014년 1분기에 18.1%로 처음으로 20%대를 밑돌았다. 이어 17∼18%대를 유지하다가 작년 3분기 15.7%까지 떨어진 뒤 올 1분기도 15%대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단일 국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일본이 2014년 1분기에 중국에 점유율 1위를 내주고서 이후 한 번도 중국을 넘어서지 못했다.
중간재를 포함한 전체 제조업 국내 공급을 보더라도 일본산의 비중은 크게 줄었다. 2010년 1분기 23.9%에서 올해 1분기 13.7%로 10.2%포인트 내려갔다. 9년 새 일본산 점유율이 크게 하락한 제조업 업종은 담배(-75.8%포인트), 비금속 광물제조(-41.4%포인트),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30.4%포인트),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22.2%포인트), 자동차 및 트레일러(-21.2%포인트),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15.3%포인트) 등이다.
전체 일본산 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의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게 현실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에 우리 정부가 소재 자립화 강화 전략으로 맞서면서 일본산의 점유율 하락 추세는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 정부는 내년부터 10년간 반도체 소재 부품·장비 개발에 매년 1조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다. 일반 소재·부품·장비의 경우 2021년부터 6년간 5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중 부품 소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과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웠던 품목에 대해 이번 일본의 조치가 오히려 국산화를 가속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황병서기자 BShwang@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