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분기 은행 주택담보대출 심사문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중소기업과 가계 일반대출에 대해선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국내 은행 15곳의 종합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7로 조사됐다.
대출행태 서베이는 총 19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향후 대출심사를 강화할 것인지 등 대출 태도를 조사해 -100에서 100 사이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마이너스면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겠다는 곳이 많다는 의미다.
3분기 국내은행의 가계 주담대 태도 지수는 -7로 조사됐다. 부동산 시장 규제 영향이 이어지면서 강화하는 추세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주담대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3분기 가계 주담대 수요 전망치는 7로, 지난 1분기 -13과 2분기 -3에서 크게 올랐다.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은행의 가계 일반대출 태도 지수는 7로 나타났다. 우량 차주에 대한 신용대출을 소폭 완화되는 양상이 나타나서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17이다. 정부의 중소기업 금융지원 활성화 정책에 부응하는 가운데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우량 중소기업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법인대출을 중심으로 완화될 전망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0으로 전 분기와 같은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일반대출 수요(13)는 시장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중소기업 수요(17)는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에 대비한 여유자금 확보 필요성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기업(0)은 중립수준으로 나타났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대출심사는 모두 강화될 전망이다. 상호저축은행 대출 태도는 -6, 신용카드회사는 -19, 상호금융조합은 -29, 생명보험회사는 -7로 나타났다.
3분기 은행들의 차주 종합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5다. 앞으로 신용위험이 커진다고 보는 은행이 그렇지 않은 은행보다 더 많다는 의미다. 이 중 가계 신용위험이 7로 소폭 증가했다. 고용상황이 부진하고 소득 개선 지연 등의 영향때문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 실적이 부진해 채무상환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에 중소기업 신용위험은 23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신용위험은 7이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신용위험도 커질 전망이다. 상호저축은행은 14, 신용카드회사는 25, 상호금융조합은 31, 생명보험회사는 12로 나타났다.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가치 감소 우려, 자영업자의 수익 악화 가능성 탓이다.
은행들의 종합 대출 수요 전망치는 11로, 올 3분기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비은행에 대한 대출 수요는 상호저축은행(-12), 신용카드회사(-13), 상호금융조합(-11), 생명보험회사(-6)에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부동산업 등 자영업자들의 투자 부진, 주택 매매 감소세 등의 영향이다.
진현진기자 2jinh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