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4일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규제가 확대할 가능성에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은 이날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규제가 확대할 가능성에 대비해 민·관 협조가 긴밀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자동차 분야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일본발 수출 규제 확대로 인한 영향도 지적한 것이다.

정 회장은 이날 부품사들의 현황과 어려움 극복 방안 마련을 적극 주문했다. 그는 "2013년 898개에 달했던 1차 협력사는 작년 831개로, 67개나 사라지고 20개사가 없어졌다"며 "2014년 78조원에 이르던 매출은 2018년 71조원으로 약 10% 줄었다"고 했다. 이어 "회사를 정리할 생각을 하는 CEO(최고경영자)들도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또 국내 규제, 오락가락한 정책 등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우리 국회의 입법건수는 20대 국회 기준 연간 약 1400건에 달한다"며 "같은 기준으로 미국은 221건(115대), 영국 36건, 일본은 84건(제3차 내각)으로 국내 입법은 이들에 비해 6~38배 많다"고 말했다. 이어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정책 중점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며 "특히 자동차 부품산업뿐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센서 등에 있어 중장기로 끌어갈 정책 토론이 활발히 이뤄졌으면 한다"고 전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이 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제공>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이 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