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기 금리 역전 폭이 사상 최대로 치솟으면서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장기금리(국고 3년물)가 단기금리(기준금리)보다 낮은 폭이 커지고 있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20일 1.42%를 기록, 기준금리(1.75%)보다 0.33%p 낮아졌다. 이는 지난 2013년 기록한 최대 역전 폭(-0.31%p)보다 벌어진 수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역전 현상은 수차례 있었고 대부분 금리 인하가 이어졌다. 2012년 7∼10월 역전 현상(최대 -0.29%p)이 나타났고, 7월과 10월에 0.25%p씩 금리 인하(3.25%→2.75%)가 단행됐다. 2013년 1∼5월의 금리 역전(최대 -0.31%p) 직후인 5월에 금리는 다시 인하(2.75%→2.50%)됐다.

이어 2015년 3∼4월과 6월의 금리 역전(최대 -0.06%p) 직후 6월 금리 인하(1.75%→1.50%), 2016년 2∼6월의 금리 역전(최대 -0.12%p) 직후 6월 금리 인하(1.50%→1.25%)가 있었다.

최근의 금리 역전은 폭도 폭이지만, 기간도 역대 최장이 될 것이 확실시된다. 지난 3월 27일(-0.03%p) 시작해 약 3개월이 됐고, 시장 금리가 현재 수준에만 머무른다고 가정해도 한은이 두 차례 금리를 내려야 역전 현상이 해소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7월에 0.25%p를 내려도 역전 현상이 5개월을 넘기는 셈이다.

이처럼 금리 역전의 폭과 기간이 기록적인 수준에 이르자 이르면 7월, 늦어도 8월에는 한은이 금리를 한 차례 내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리 인하 시기는 미·중 무역분쟁의 전개 양상에 달렸다. 첫 분수령은 이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이뤄질 양국의 담판이다. 이달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이 담판을 벌이지만, 분쟁이 단번에 해소되긴 어렵다는 비관론이 짙다. 따라서 무역분쟁은 한동안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조만간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졌다. 게다가 반도체 경기의 반등도 늦어지고 있다. 반도체 시황은 우리나라 수출에, 수출은 경기에 직결된다. 7월 금통위에선 수정 경제성장률 전망이 함께 발표된다. 2.5%인 기존 전망치는 2% 초반대로의 하향 조정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012년 이후 국고채 3년물과 기준금리 사이 역전이 발생하면 4개월 이내에 기준금리가 인하됐다"면서 "7∼8월 금통위에서 한 번 내리고,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에 한 번 더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금리 인하에 선을 긋던 이주열 한은 총재와 금통위의 기류도 급변하고 있다. 다만 과거와 비교해 최근의 금리 수준이 낮다는 점은 여전히 한은이 금리를 내리기에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견해도 만만치 않다. 3분기에는 7월과 8월 두 번의 금통위가 열린다. 심화영기자 dorothy@dt.co.kr

금리 역전폭이 사상 최대로 치솟았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20일 1.42%를 기록, 기준금리(1.75%)보다 0.33%p 낮아졌다. 2013년 기록한 최대 역전폭(-0.31%p)보다 커졌다. 연합뉴스
금리 역전폭이 사상 최대로 치솟았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20일 1.42%를 기록, 기준금리(1.75%)보다 0.33%p 낮아졌다. 2013년 기록한 최대 역전폭(-0.31%p)보다 커졌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