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번 교육과정은 대학 정규 과정에서 접하기 어려운 융합미디어 기술,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유통, 1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실습 등 현업 전문가의 강의와 현장교육을 중점 실시하고, 해당 대학에서는 과정이수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학점연계 교육과정은 지난 4월 공고를 통해 광운대, 동아방송예술대, 차의과학대, 한국영상대, 부산대를 참여대학으로 선정했다.
특히, 방송·영상 특성화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직업교육을 운영해 직업탐색의 기회 제공과 방송현장에 대한 다양한 실무능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특성화고 대상 학교는 서울문화고, 서초문화예술정보고, 서울방송고, 이화여대병설미디어고, 경기영상과학고였으며 올해는 서울문화고, 서울방송고, 이화여대병설미디어고, 서울산업정보고, 한강미디어고, 서울디자인고, 경기영상과학고, 한국문화영상고, 안강전자고, 부산영상예술고로 대상이 확대됐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오는 8월말에 방송·미디어분야 취업 예비인력을 대상으로 '제6회 방송·미디어 직업체험전'을 개최해 다양한 방송 분야별 조언자(멘토)와의 진로·고민 상담 기회와 성공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토크콘서트, 음성연기 콘테스트 등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또 11월∼12월에는 방송사·제작사 등과 취업희망자를 연결하는 '산업체 현장교육'도 실시해 선발된 방송 예비인력들이 실제 방송콘텐츠 제작현장에서 다양한 실무경험을 습득토록 하고, 현장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취업 즉시 방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방송 예비인력에 대한 다양한 현장실무와 특화교육이 진로·직업 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이들이 방송·미디어 분야에서 미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지기자 ke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