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과 지역 간 양극화와 불균형 문제 해결에 2400억 원 이상을 투입키로 했다.

시는 2022년까지 2403억원을 투자해 36개 사업을 시행하는 내용을 담은 '서울시 지역상생 종합계획'과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을 22일 발표했다.

시는 연간 서울 청년 100명을 선발해 지역 창업자원 조사,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 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까지 지원하고 사업비로 연 2000만∼5000만 원을 준다. 연간 200명가량에게는 지방 도시의 소셜 벤처,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지원한다. 인건비는 서울시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원한다.

지방의 예비 대학생이 대학탐방 등을 위해 서울에 올 때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내발산동 공공기숙사 공실을 게스트하우스로 개방한다.

귀농·귀촌 지원은 교육, 단기 체험, 실제 체류 등 총 3단계로 이뤄진다. 우선 연간 서울시민 800명을 대상으로 귀농·귀촌 관련 교육을 진행하기로 했다. 단기 체험을 위한 숙소와 텃밭 등을 갖춘 '서울농장'을 9월 괴산, 10월 상주, 11월 영암에 문을 열기로 했다. 오는 2022년까지 총 1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나아가 연간 60∼70여 가구를 선발해 9∼10개월간 영주, 무주, 구례 등 6개 지자체의 농촌에서 실제로 살아볼 기회를 줄 계획이다.

문화·예술 분야 교류를 위해 시는 세종문화회관 소속 예술단의 지방 공연을 지난해 18회에서 올해 20회, 2022년 28회로 늘려가기로 했다.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등 시립 시설의 전시 교류도 2022년 9회로 확대한다.

18개 지자체와 연계해 서울과 지방 청소년이 서로 문화를 체험하는 교류사업을 통해 연간 2100명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분야별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등으로 꾸린 '혁신자문단'을 현장으로 파견키로 했다. 이 자문단은 지역 정책을 진단하고 시 혁신 사례의 접목 방안 등을 컨설팅한다. 올해 3개 지역에서 시범 시행하기로 했다.

지방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서울정책연수프로그램' 참가자는 올해 5500명에서 2022년 7000명으로 늘린다.

시는 2021년 준공을 목표로 마곡에 조성 중인 도시농업 체험 복합공간 '농업공화국'을 지역 특산물, 정보, 커뮤니티 등이 모이는 허브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임재섭기자 yjs@dt.co.kr





'서울-지방 상생 서울선언문 선포'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왼쪽 세번째)과 구청장협의회 회장단이 2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을 선포하고 있다. 2019.5.22      jeong@yna.co.kr  (끝)
'서울-지방 상생 서울선언문 선포'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왼쪽 세번째)과 구청장협의회 회장단이 2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을 선포하고 있다. 2019.5.22 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