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해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과 취업을 도울 '가상 직업훈련 콘텐츠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발달장애는 신체적·정신적 영역에서 발달이 더뎌 언어나 감각, 신체활동, 사회심리 등 전반적 인지능력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ETRI는 자체 축적한 ICT 기술력과 장애인을 위한 UI(사용자 환경)·UX(사용자 경험) 를 개발한 노하우를 살려 발달장애인의 직업 훈련과 체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개발할 기술은 △가상 직업훈련·체험 서비스 시스템 △자동 직무평가진단 시스템 △가상 직업훈련·체험 복합형 공간 및 체험 콘텐츠 등이다.

특히 발달장애인은 인지능력, 선호감각 등이 서로 다른 만큼 AR·VR 콘텐츠 등으로 직무 능력을 자동 평가하고, 해당 결과를 실시간으로 체험 콘텐츠에 반영해 보다 적합한 훈련이 이뤄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AR·VR 콘텐츠를 활용하면 한정된 장소와 직업군에 한해 다양한 실무 체험 교육이 가능하고, 다양한 산업 및 직종 체험도 쉬워져 발달장애인의 직무 역량을 한층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ETRI는 기대하고 있다.

ETRI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업무협력을 맺고, 대전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 리빙랩(개방형 연구실)을 만들어 향후 개발될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다.

이길행 ETRI 차세대콘텐츠연구본부장은 "가상 직업훈련 콘텐츠 기술이 개발되면 발달장애인의 직무·취업 역량을 높여 경제적 자립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이들의 사회적 참여권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과제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을 통해 과기부가 추진하는 사회문제해결 R&D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다.대전=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