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500억 원'

국내은행들이 지방자치단체 금고를 유치하는데 드는 비용이다.

돈도 돈이지만, 은행들이 지자체 금고 유치를 위해서는 소송전도 불사하고 있다. 지역 사회 은행의 명예는 물론 수조원대의 예산에다 지역 공무원과 그 가족의 계좌까지 부가 이익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28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기업·부산·대구·경남·광주·전북·제주은행 등 12개 은행이 지자체 금고지정 입찰 과정에서 지출한 돈은 모두 1500억6000만원이었다. 최근 3년 이들 12 은행은 2016년 1528억6000만원, 2017년 1510억 원 등을 썼다.

지자체 금고지정 제도는 지자체가 자금 관리와 운용 등을 위해 계약 형태로 금융기관을 지정하는 것이다. 금고를 맡는 은행은 지자체 자금을 운용해 나오는 투자수익의 일부를 협력사업비로 출연한다. 이들 은행 중 작년 가장 많은 협력사업비를 낸 곳은 533억4000만 원을 출연한 농협이다.

농협은 2016년(508억1000만 원)과 2017년(558억5000만 원)에도 500억 원 넘게 협력사업비를 썼다. 기업은행과 경남은행은 최근 3년간 이 협력사업비를 크게 높였다. 그만큼 강하게 경쟁에 나섰다는 의미다. 기업은행은 협력사업비로 2016년 47억4000만 원을 썼고, 지난해에는 2년 사이 13.8% 증가한 54억 원을 지출했다. 특히 경남은행은 같은 기간 협력사업비가 20억5000만 원에서 45억4000만 원으로 두 배가 됐다. 대구은행의 경우 지난해 당기순이익(2348억원)의 4.1%에 해당하는 96억7000만 원을 지자체에 제공했다.

은행들 사이에 과도한 출혈경쟁이 이어지자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100점 만점 평가 기준에서 협력사업비의 배점을 기존 4점에서 2점으로 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의 과열경쟁은 쉽게 식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익명의 은행 임원은 "지자체 소속 공무원, 산하기관 직원, 그리고 그 가족까지 은행 고객이 된다고 계산하면 수천억 원을 충분히 내걸 만한 조건"이라고 말했다.

성승제기자 ban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