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간 4000건이 넘는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중 입산자의 실화에 의한 산불이 3분의 1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이 운영하는 국가통계포털에 공개된 산불 통계를 보면 2009∼2018년 10년간 산불은 4316건 발생했고 이로 인한 피해면적은 6천699㏊였다.

10년간 산불 피해면적은 서울시 넓이(6만525㏊)의 약 9분의 1에 해당한다. 피해 금액은 약 2392억원이었다.

원인별로는 입산자의 실화에 의한 산불이 36.1%(건수 기준)로 가장 많았다.

논·밭 소각 과정에서 발생한 산불 16.9%, 쓰레기 소각에 의한 산불 13.8%, 담뱃불 실화에 의한 산불 4.3%, 성묘객 실화에 의한 산불 4.0%, 건축물 화재로 인한 산불(2014년부터 집계) 2.6%, 어린이 불장난으로 인한 산불 0.6%였다.

기타 원인으로 발생한 산불은 21.6%로 집계됐다.

산불 발생 시기는 3∼5월이 58.6%로 가장 많았다.

12·1·2월 22.0%, 6∼8월 10.6%, 9∼11월 8.8% 순이었다.

통계가 제공되는 1997∼2018년 22년간 발생한 산불은 1만76건이었고 피해 면적은 4만6천398㏊, 피해 금액은 3천340억원에 달했다.디지털뉴스부기자 dt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