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10명 중 8명이 주 1회 이상 아침을 패스트푸드로 때웠다. 초등학생은 10명 중 6명꼴로 주 1회 이상 아침을 패스트푸드로 대신했다.
중·고등학생의 약 20%가 아침 식사를 거르고 있었지만, 초·중·고등학생 비만율은 25%에 달했다.
그만큼 체력이 저질이 된 것이다.
교육부가 전국 1023개 학교를 대상으로 한 2018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분석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는 초·중·고 표본학교 전 학년의 신체발달 상황(10만7954명)과 건강조사(10만8016명), 초 1·4학년 및 중·고 1학년의 건강검진(3만4862명) 결과를 종합해 분석한 내용이다.
학생들의 평균 신장은 최근 5년 사이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중학생만 3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초중고 최고 학년의 남녀 평균 키는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152.2㎝·여학생 152.2㎝, 중학교 3학년 남자 170.2㎝·여자 160.3㎝, 고등학교 3학년 남자 173.8㎝·여자 160.9㎝였다.
비만군 비율은 2014년 21.2%에서 5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 25%(과체중 10.6%·비만 14.4%)에 육박했다.
생활습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아침 식사를 자주 거르고 채소는 많이 섭취하지 않았지만 패스트푸드와 라면을 자주 먹는 경향을 보였다. 아침 식사 결식률은 초중고생 모두 4년 연속 늘어났다. 특히 아침 식사를 거르는 고등학생이 19.69%에 달했다.
반면 주 1회 이상 패스트푸드를 먹는다고 답한 고등학생은 80.54%에 달했다. 중학생도 77.66%, 초등학생도 65.98%가 주 1회 이상 식사를 패스트푸드로 대체하고 있었다.
하루 수면 시간이 6시간 미만인 비율은 고등학생이 43.44%에 달했다. 초등학생은 3.06%, 중학생은 13.57%였다. 이 비율은 중1 때 6.88%에 불과했다가 중2 때 14.32%, 중3 18.86%, 고1 36.6%, 고2 41.7%, 고3 50.5%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0.7 이하로 안경이 필요한 학생은 초중고생의 절반이 넘는 53.72%에 달했다. 조사에 응답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75.39%가 이에 해당했다. 중학교 1학년 65.69%, 초등학교 4학년은 48.0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