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인상 등 악재 겹쳐
대출 연체 규모 14.6% 증가
부채의 질 악화 추세도 우려
"지역 업종 리스크 확대 주목"





풀뿌리상권 살려내자

자영업자 부채의 질이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빚 갚기가 어려워진 자영업자가 늘면서 연체발생 자영업자 수와 연체규모가 10%대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본보 '풀뿌리상권 살려내자' 기획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해주는 보고서여서 주목된다.

20일 한국금융연구원의 '국내 자영업자의 부채구조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하락세를 보이던 자영업자들의 연체규모가 지난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자영업자 대출은 600조원이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6월 자영업자 연체규모(자영업자 부채규모 대비 연체규모)도 전년대비 14.6% 늘었다. 자영업자 연체규모가 늘어난 것은 연구원의 분석기간 동안 지난해 6월이 처음이다. 연체 규모는 2016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5.9% 하락, 2017년 6월 6.6%, 2017년 12월 11.9% 감소로 하락세를 이어왔다.

연체발생 자영업자 수(부채자영업자 수 대비 연체 중인 자영업자 수) 증가율은 2017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2%에서 2018년 6월 13.9%로 반년 만에 11.7%포인트 폭증했다. 2016년 12월엔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 2017년 6월엔 2.9% 감소였다.

부채를 보유한 자영업자 중 6개월간 신규로 연체가 또 발생한 불량발생 자영업자 수 증가율은 2016년 12월 1년 전 보다 4.7%, 2017년 6월 2.6% 감소하다가, 2017년 12월 6.5% 증가세로 전환했다. 2018년 6월 증가율은 14.8%로 6개월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뛰어올랐다. 불량규모는 2017년 6월 1.0% 감소에서 1년 만에 25.3% 증가로 전환했다.

지역별로 보면 연체율 감소세를 보이던 서울·경기·강원 지역이 지난해 들어 증가한 모습을 보였고, 경상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경남지역과 세종시는 최근 연체발생 자영업자 수 비중이나 연체율이 상당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2018년 들어 건설업, 운수업, 사업지원서비스업의 연체발생 자영업자 수 비중이 늘어 1.5%를 넘어섰다. 불량발생 자영업자 수 비중의 경우도 이 업종들에서 6개월 전 대비 0.3%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보고서는 "미시적 분석에서 자영업자 부채를 우려할만한 모습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자영업자 부채의 질이 낮아지고 있고 2018년 들어서 리스크 지표가 상당폭 악화되고 있다"며 "일부 지역 및 업종의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진현진기자 2jinh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