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송 코스닥협회 회장이 20일 낮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시장 활성화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코스닥협회 제공>
정재송 코스닥협회 회장이 20일 낮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시장 활성화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코스닥협회 제공>
[디지털타임스 김민주 기자] 정재송 코스닥협회 회장은 20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역차별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제이스텍 대표이사 출신으로, 지난달 코스닥협회의 새 회장으로 선임됐다.

이날 정 회장은 취임 이후 첫 기자 간담회에서 "시장 건전성 확보를 위해 코스닥시장의 상장관리요건을 강화한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이는 코스닥 기업의 가치를 낮추는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그는 투자주의 환기 종목 지정의 경우 관리종목 지정과 같은 부정적 인식을 줘 해당 종목으로 지정된 기업은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영업활동도 제약을 받게 돼 부실이 가속화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국거래소가 지정하는 투자주의 환기 종목은 현재 코스닥 상장사에만 적용되고 있다.

또 정 회장은 코스닥 기업의 상장폐지 규정과 관련해서도 "분식회계 등 회계 문제가 있는 기업이라면 당연히 상장을 폐지하는 게 맞지만, 성장 가능성이 있는데도 단순히 몇 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해서 상장을 폐지하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현행 코스닥 규정에서는 코스닥 법인이 감사의견으로 부적정·의견거절·감사 범위 제한 등을 받거나 5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하면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게 된다.

이어 "신외감법(개정 외부감사법) 등 새로운 제도를 도입할 때 코스피와 코스닥 기업을 상장법인으로 묶어 동일 규제를 하는 것도 상대적으로 기업 규모가 작은 코스닥 기업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코스닥 기업에 대한 세제 등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중소기업의 법인세 신고기한 연장 △이월결손금 공제기한 합리화 △상속·증여세 인하 및 최대주주의 상속·증여주식 할증평가 기준 완화 등 17건의 세법 개정 건의 목록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민주기자 stella251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