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육성방안 발표
정부가 국산 김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김치품질표시제'를 도입하고 '학교급식 김치 표준'을 개발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김치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김치 수입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품질·안전 차별화, 내수시장 확대 및 신시장 개척, 김치 유통관리 강화, 김치원료의 안정적 공급 및 원가절감, 김치 수출 확대 및 홍보 강화 등 5개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키로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국산 김치의 품질 향상을 위해 '김치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김치 맛과 품질기간 연장, 김치 기능향상 복합종균 개발 등 김치 상품성 제고에 예산과 인력 지원을 확대한다.

또 올해부터 김치 맛과 유통기한을 향상시키는 종균을 공급가격의 50% 수준으로 보급하고 내년에 김치 맛·숙성도를 표시하는 '김치품질표시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급식·유통김치에 대한 품질 개선 및 위해요소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 '학교급식 김치표준'을 개발해 보급하고 '절임배추 위해관리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군납 및 외식·단체급식, 고속도로 휴게소에 국산 김치 사용을 확대하고 어린이용·고령자용 김치 개발 등을 통해 내수 및 해외 김치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김치 유통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김치류에 사용된 소금에 대한 원산지표시를 의무화하고 김치 원산지자율표시제를 개선하며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통신판매 김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산 김치의 우수성 홍보와 김장문화 확산을 위해 '김치의날'을 제정해 김치문화행사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농식품부 이개호 장관은 "이번에 수립한 김치산업 육성방안이 국산김치의 품질 경쟁력 제고 및 소비저변을 확대해 김치원료 생산농가의 경영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병서기자 BShwang@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