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리졸브·독수리훈련 종료
연중 소규모 훈련으로 대체
한미 군 당국이 올해부터 키리졸브(KR)연습과 독수리훈련(FE)이라는 이름의 대규모 연합훈련을 종료하기로 했다. 다만 KR연습은 한글 이름 '동맹'으로 바꿔 4일부터 7일 간 실시하고, FE훈련은 명칭을 없애고 소규모 부대 위주로 연중 실시하기로 했다. 한미 군 당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부 장관 대행은 2일 오후 10시부터 45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국방부는 3일 "양 장관이 한국합참의장과 주한미군 사령관이 건의한 연합연습 및 훈련에 대한 동맹의 결정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가능한 방법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KR연습은 2007년 처음 명명한지 12년 만에 한국이름 '동맹'으로 바뀌고, 1961년 시작되고 1975년 'Foal Eagle'이란 이름이 붙은 독수리훈련은 40여년 만에 훈련 명칭도 없어진다.
정 장관과 섀너핸 대행은 통화에서 향후 공조 군 공조 방안과 연합준비 태세 유지를 위해 한미 양국군, 연합사령부, 유엔군사령부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임을 확인했다.
한미 군 당국의 이같은 결정은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해 대화의 동력을 유지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동시에, 북한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미 당국은 실무차원에서 2차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전부터 훈련 중단·축소, 명칭 변경 등의 방향을 정해놓고 회담이 끝난 직후 양국 국방부 장관의 최종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국방 당국의 이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 회담 직후 "한미군사훈련은 내가 오래전에 포기했다"는 발언 이후 즉각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훈련 종료 결정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미영기자 mypark@
연중 소규모 훈련으로 대체
한미 군 당국이 올해부터 키리졸브(KR)연습과 독수리훈련(FE)이라는 이름의 대규모 연합훈련을 종료하기로 했다. 다만 KR연습은 한글 이름 '동맹'으로 바꿔 4일부터 7일 간 실시하고, FE훈련은 명칭을 없애고 소규모 부대 위주로 연중 실시하기로 했다. 한미 군 당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부 장관 대행은 2일 오후 10시부터 45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국방부는 3일 "양 장관이 한국합참의장과 주한미군 사령관이 건의한 연합연습 및 훈련에 대한 동맹의 결정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가능한 방법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KR연습은 2007년 처음 명명한지 12년 만에 한국이름 '동맹'으로 바뀌고, 1961년 시작되고 1975년 'Foal Eagle'이란 이름이 붙은 독수리훈련은 40여년 만에 훈련 명칭도 없어진다.
정 장관과 섀너핸 대행은 통화에서 향후 공조 군 공조 방안과 연합준비 태세 유지를 위해 한미 양국군, 연합사령부, 유엔군사령부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임을 확인했다.
한미 군 당국의 이같은 결정은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뒷받침해 대화의 동력을 유지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동시에, 북한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미 당국은 실무차원에서 2차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전부터 훈련 중단·축소, 명칭 변경 등의 방향을 정해놓고 회담이 끝난 직후 양국 국방부 장관의 최종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국방 당국의 이런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 회담 직후 "한미군사훈련은 내가 오래전에 포기했다"는 발언 이후 즉각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훈련 종료 결정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미영기자 mypark@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