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은 영변 핵시설 해체만 원해
미국은 우라늄·시설 모두 포함
金 위원장과 우호관계는 유지"
美北 '하노이 核담판' 결렬
트럼프 긴급 기자회견
"우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대북제재 전면해제 요구를 들어줄 수 없었습니다. 회담은 진전이 있었지만 최종 결론에 이르기에 미흡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오후 2시(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메리어트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불안했던 예감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현지시간 4시로 예정된 기자회견을 2시로 앞당기면서 이미 하노이 전역에는 불안의 그림자가 퍼지고 있었다. 외신에서는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는 보도가 흘러나왔다.
이윽고 기자회견장에 들어선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회담은 생산적인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번엔 김 위원장과 굳건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어떤 문서도 서명하지 않는 게 옳다고 판단했고 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완전한 제재완화를 요구했다. 미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이 결렬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이 완전 결렬된 것은 아니라며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요약하면 미국은 영변핵시설 폐기에서 한발 더 나아간 비핵화 실행을, 북한은 완전한 제재완화를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완화 문제 때문에 회담이 이렇게 됐다"며 "북한은 비핵화가 상당부분 준비돼있고 완전한 제재완화를 원했지만 미국은 요구를 들어줄 수 없어 회담을 끝냈다"고 말했다. 북한은 제재를 없애면 비핵화를 진전시키겠다는 입장이었는데, 미국은 당장 모든 제재를 거둬들일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이번 회담에는 미북 정상의 서명이 들어갈 합의문이 준비됐지만 최종적으로 불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어떤 것도 북한에게 양보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정말 원하는 중요한 비핵화를 얻어야 하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는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는 영변 핵시설 해체 뿐 아니라 고농축 우라늄, 기타시설 등을 모두 해체하는 것이다. 영번 핵시설 해체는 1단계 수준이고, 그 이상이 필요한데 김 위원장은 그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딜을 할 수 있었는데 만약 했다면 전적으로 만족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오늘 딜을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 협상과 관련해선 섣부른 합의보단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미국은 어떤 것도 북한에게 양보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정말 원하는 중요한 비핵화를 얻어야 하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더 이상의 로켓이나 핵실험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신뢰하고 앞으로도 관계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우호적인 관계는 계속 유지할 것"이라며 "회담도 갑자기 일어서서 나온 것이 아니라 우호적으로 마무리했다. 악수도 했고 서로 간 따뜻함이 있었다. 이런 따뜻함이 계속 유지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특별한 것을 할 수 있는 준비를 갖췄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진현진·주현지기자 2jinhj@dt.co.kr
미국은 우라늄·시설 모두 포함
金 위원장과 우호관계는 유지"
美北 '하노이 核담판' 결렬
트럼프 긴급 기자회견
"우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대북제재 전면해제 요구를 들어줄 수 없었습니다. 회담은 진전이 있었지만 최종 결론에 이르기에 미흡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오후 2시(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메리어트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불안했던 예감이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현지시간 4시로 예정된 기자회견을 2시로 앞당기면서 이미 하노이 전역에는 불안의 그림자가 퍼지고 있었다. 외신에서는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는 보도가 흘러나왔다.
이윽고 기자회견장에 들어선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회담은 생산적인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번엔 김 위원장과 굳건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어떤 문서도 서명하지 않는 게 옳다고 판단했고 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완전한 제재완화를 요구했다. 미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이 결렬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이 완전 결렬된 것은 아니라며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요약하면 미국은 영변핵시설 폐기에서 한발 더 나아간 비핵화 실행을, 북한은 완전한 제재완화를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완화 문제 때문에 회담이 이렇게 됐다"며 "북한은 비핵화가 상당부분 준비돼있고 완전한 제재완화를 원했지만 미국은 요구를 들어줄 수 없어 회담을 끝냈다"고 말했다. 북한은 제재를 없애면 비핵화를 진전시키겠다는 입장이었는데, 미국은 당장 모든 제재를 거둬들일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이번 회담에는 미북 정상의 서명이 들어갈 합의문이 준비됐지만 최종적으로 불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어떤 것도 북한에게 양보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정말 원하는 중요한 비핵화를 얻어야 하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는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는 영변 핵시설 해체 뿐 아니라 고농축 우라늄, 기타시설 등을 모두 해체하는 것이다. 영번 핵시설 해체는 1단계 수준이고, 그 이상이 필요한데 김 위원장은 그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딜을 할 수 있었는데 만약 했다면 전적으로 만족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오늘 딜을 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 협상과 관련해선 섣부른 합의보단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갈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미국은 어떤 것도 북한에게 양보하거나 포기하지 않았다"며 "미국은 정말 원하는 중요한 비핵화를 얻어야 하고,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더 이상의 로켓이나 핵실험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신뢰하고 앞으로도 관계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우호적인 관계는 계속 유지할 것"이라며 "회담도 갑자기 일어서서 나온 것이 아니라 우호적으로 마무리했다. 악수도 했고 서로 간 따뜻함이 있었다. 이런 따뜻함이 계속 유지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특별한 것을 할 수 있는 준비를 갖췄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진현진·주현지기자 2jinh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