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협상단, 통화정책 논의
구체적 문구 아직 합의 못해
미 "위안화 가치 의도적 약화
불공정 무역관행 바로잡을 것"
미·중 무역협상이 막바지 통화정책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환율 조작을 말라"고 경고했다.
이렇게 중국이 겉으로 몰리고 있지만, 속내는 다르다.
중국 당국의 노력 속에 미국을 중심으로 했던 화웨이 규제 동맹이 조금씩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결국 미·중 무역전쟁이 미국의 '외화내빈'과 중국의 '외빈내화'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무역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과 중국 협상단이 양국 정상의 최종 담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틀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는 '양해각서'(MOU)에서 통화정책을 어떻게 다룰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은 최근 수개월 간 진행된 몇 차례의 회담에서 위안화 안정화 문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해왔고 그 결과 양국 최종합의의 골간을 이룰 일부로 잠정 합의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은 구체적인 문구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위안화 가치는 지난해 10월 말 달러 대비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뒤 지금까지 약 2% 반등했다. 이에 중국이 의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
미국은 고율 관세를 활용해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바로잡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무역전쟁은 중국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미국에 투자하는 중국 기업들이 무역전쟁으로 인해 공장 건설비용 상승과 수출 장벽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중국은 이날 워싱턴D.C.에서 막바지 협상에 들어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양국은 이날부터 차관급 협상을, 오는 21일부터 고위급 협상을 진행한다.
협상은 미국이 연일 중국을 몰아세우는 모양새다.
그러나 최종 실익은 더 따져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화웨이 보이콧에 균열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에 이어 독일과 뉴질랜드에서도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을 듯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 독일이 5세대 이동통신(5G) 통신망 구축 사업에 화웨이의 참여를 허용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관련 부서 장관들은 2주 전 이 사안에 대한 예비 합의를 이뤘다. 이번 결정은 독일 정부가 유관 부서가 협의한 결과 화웨이가 스파이 활동에 참여했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데 따라 이뤄졌다.
한편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은 이날 방송된 CBS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 정부에 어떠한 정보도 제공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화웨이 기술에 접근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불가능"이라며 "만일 그랬다면 미국이 우리가 그렇게 했다는 것을 알아냈을 것"이라고 전했다.
윤선영기자 sunnyday72@dt.co.kr
구체적 문구 아직 합의 못해
미 "위안화 가치 의도적 약화
불공정 무역관행 바로잡을 것"
미·중 무역협상이 막바지 통화정책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환율 조작을 말라"고 경고했다.
이렇게 중국이 겉으로 몰리고 있지만, 속내는 다르다.
중국 당국의 노력 속에 미국을 중심으로 했던 화웨이 규제 동맹이 조금씩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결국 미·중 무역전쟁이 미국의 '외화내빈'과 중국의 '외빈내화'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무역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과 중국 협상단이 양국 정상의 최종 담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틀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는 '양해각서'(MOU)에서 통화정책을 어떻게 다룰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은 최근 수개월 간 진행된 몇 차례의 회담에서 위안화 안정화 문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해왔고 그 결과 양국 최종합의의 골간을 이룰 일부로 잠정 합의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은 구체적인 문구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위안화 가치는 지난해 10월 말 달러 대비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뒤 지금까지 약 2% 반등했다. 이에 중국이 의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
미국은 고율 관세를 활용해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바로잡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무역전쟁은 중국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미국에 투자하는 중국 기업들이 무역전쟁으로 인해 공장 건설비용 상승과 수출 장벽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중국은 이날 워싱턴D.C.에서 막바지 협상에 들어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양국은 이날부터 차관급 협상을, 오는 21일부터 고위급 협상을 진행한다.
협상은 미국이 연일 중국을 몰아세우는 모양새다.
그러나 최종 실익은 더 따져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화웨이 보이콧에 균열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에 이어 독일과 뉴질랜드에서도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을 듯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 독일이 5세대 이동통신(5G) 통신망 구축 사업에 화웨이의 참여를 허용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관련 부서 장관들은 2주 전 이 사안에 대한 예비 합의를 이뤘다. 이번 결정은 독일 정부가 유관 부서가 협의한 결과 화웨이가 스파이 활동에 참여했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데 따라 이뤄졌다.
한편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은 이날 방송된 CBS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 정부에 어떠한 정보도 제공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화웨이 기술에 접근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불가능"이라며 "만일 그랬다면 미국이 우리가 그렇게 했다는 것을 알아냈을 것"이라고 전했다.
윤선영기자 sunnyday72@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