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기자]경기도는 올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4만1000가구를 공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가운데 2만9000여 가구는 건설해 공급하고 나머지 1만2000가구는 기존 주택을 매입하거나 전세로 임대한 뒤 재공급한다.
공공임대주택 신규가입자 2330가구에는 주거복지기금을 활용해 가구당 최대 200만원의 임대보증금을 지원한다.
도는 또 국비를 포함해 올해 3672억원을 투자해 중위소득 44% 이하(3인 가구 월 소득 165만원 이하) 21만4000여 가구에 가구원 수에 따라 20만∼33만원의 월세를 지원한다.
5억6000여만원을 들여서는 농어촌 저소득층 주택 38개 및 중증장애인 거주 주택 110개 등 모두 148가구에 가구당 380만원의 주택 개·보수 비용을 지원한다.
저소득층의 민간임대주택 입주 시 전세금 대출 보증료와 대출 이자도 각각 절반 지원한다.
이외에 22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45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500만원을 지원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벽체 및 창호 교체 공사 등을 지원하는 햇살하우징 사업을 펼친다.
민간단체가 재능 기부로 노후주택을 무료로 고쳐주는 지(G) 하우징 사업에 저소득층 가정 110가구를 연결한다.
도는 각종 주거복지 사업을 위해 다음달 경기도 주거복지센터도 설치한다. 센터에서는 주거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주거상담 및 지원, 도의 주거복지 사업 홍보 등을 담당한다.
도 관계자는 "공공임대주택을 지속 공급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사각지대가 없는 주거복지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경기도가 올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4만1000가구를 공급하는 등 다양한 주거 정책을 펼친다. 노후주택 무료 보수 공사 모습<연합뉴스>
이 가운데 2만9000여 가구는 건설해 공급하고 나머지 1만2000가구는 기존 주택을 매입하거나 전세로 임대한 뒤 재공급한다.
공공임대주택 신규가입자 2330가구에는 주거복지기금을 활용해 가구당 최대 200만원의 임대보증금을 지원한다.
도는 또 국비를 포함해 올해 3672억원을 투자해 중위소득 44% 이하(3인 가구 월 소득 165만원 이하) 21만4000여 가구에 가구원 수에 따라 20만∼33만원의 월세를 지원한다.
5억6000여만원을 들여서는 농어촌 저소득층 주택 38개 및 중증장애인 거주 주택 110개 등 모두 148가구에 가구당 380만원의 주택 개·보수 비용을 지원한다.
저소득층의 민간임대주택 입주 시 전세금 대출 보증료와 대출 이자도 각각 절반 지원한다.
이외에 22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45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당 500만원을 지원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벽체 및 창호 교체 공사 등을 지원하는 햇살하우징 사업을 펼친다.
민간단체가 재능 기부로 노후주택을 무료로 고쳐주는 지(G) 하우징 사업에 저소득층 가정 110가구를 연결한다.
도는 각종 주거복지 사업을 위해 다음달 경기도 주거복지센터도 설치한다. 센터에서는 주거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주거상담 및 지원, 도의 주거복지 사업 홍보 등을 담당한다.
도 관계자는 "공공임대주택을 지속 공급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사각지대가 없는 주거복지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