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자동차 등 산업 구조조정 여파로 지난해 4분기 울산 지역의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 수준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탓에 소매판매도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울산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하는 데 그쳤고,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2.8%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 모두 16개 시·도 중 최하위 성적을 냈다. 울산의 숙박·음식점업(-5.3%), 부동산업(-4.3%) 등이 서비스업 평균보다 큰 폭으로 빠졌다. 숙박·음식점업은 2016년 4분기 이후 9개 분기째 감소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울산 지역 소매판매는 지난해 4분기 2.8% 감소하면서 2016년 4분기(-2.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2분기(-1.5%)와 3분기(-1.1%)과 비교할 때도 하락폭이 배 이상 수준으로 커졌다. 산업구조조정과 경기 부진에 따른 높은 실업률, 인구 감소 등으로 서비스업과 소비가 동반 침체를 겪고 있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지난해 4분기 전체 서비스업 생산은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4.5% 늘어나 1위를 차지했다. 인천은 운수·창고(8.6%), 보건·사회복지(8.9%), 부동산(9.2%) 등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9개 시도의 소매판매는 증가했지만 7개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제주(10.4%), 서울(3.7%), 인천(3.0%) 등은 면세점, 승용차·연료판매점 등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다. 대형마트와 전문소매점 판매가 감소한 울산(-2.8%), 대전(-2.2%), 경북(-1.3%) 등은 소비가 줄었다.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